
주요동향
주요동향
창조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기업간 파트너십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11
- 등록일 2018-05-14
- 권호 118
□ 영국 정부는 ’18년도 산업전략 백서에서 창조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업-정부 간 파트너십 전략** 발표(‘18.4.)
* IT, 소프트웨어, 게임, 영화, 건설, 출판, 광고, 디자인 산업 등을 포함
** Industrial Strategy : Creative Industries Sector Deal
○ ’17년 11월 영국은 생산성 제고를 위해 5대 기반요소별 목표를 제시
< 영국 산업전략 주요 목표 >
구 분 | 내 용 |
혁신 | - ’27년까지 GDP의 2.4%를 공공 및 민간 분야 R&D에 투자 - R&D 세액공제 비율을 12%로 인상 |
인재 | - STEM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4억 600만 파운드 투자 |
인프라 | - 국가생산성 투자기금을 310억 파운드로 증액하고, 5G 네트워크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해 총 10억 파운드 투자 |
기업환경 | - 혁신적 기업 지원을 위한 200억 파운드 규모 투자계획 수립 |
지역 | - 지역별 격차를 줄이고 지역 강점을 살린 지역산업 전략 추진 - 시내 교통수단 개선을 위해 17억 파운드의 신규기금 조성 |
○ 특히 영국의 창조산업은 ‘10년부터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16년 기준 창조경제 영역 내에서 304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
※ 창조경제 일자리가 차지하는 정도는 11개 중 1개이며, 전년도 대비 5% 성장
- 창조산업의 총 부가가치는 ’16년에 약 918억(약 134조 원) 파운드로 ’10년 대비 44.8% 증가
※ 영국 경제 평균 총 부가가치 증가율 22.7%에 비해 2배나 높은 비율임
- 창조산업 서비스 분야의 수출은 전체 수출액의 9.4%로 212억(약 30조 원) 파운드에 달함
○ 영국 정부와 산업계는 창조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전략 요소별 발전계획 제시
1) 혁신(Idea)
- 5,800만 파운드(848억 원)의 산업전략챌린지기금(Industrial Strategy Challenge Fund)* 조성을 통해 창조산업의 R&D를 장려하고, ’25년까지 세계 창조산업 시장에서의 영국의 점유율을 2배 이상 확대
* 헬스케어 및 의약품, 로봇공학 및 AI, 클린·플렉서블 에너지, 자율주행 자동차, 미래 제조업 및 소재, 위성 및 우주기술 등 6대 도전과제의 혁신을 위해 영국 기업과 연구자들에게 기금 지원
- 또한 예술 및 인문학 연구위원회 프로그램에 6,400만 파운드를 투입하여 대학 및 기업 간 협력 지원
2) 인재(People)
- 다양한 기술 및 재능을 보유한 인재 양성을 위해 200만 파운드의 기금을 조성하여 산업계 주도의 창조적 직업 프로그램* 지원
* 2년간 최소 200개 학교, 60만 명의 학생 지원
3) 기업환경(Business Environment)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소셜 미디어, 디지털 광고, 온라인 시장에서의 실행 규정을 새롭게 수립하고 저작권 교육 캠페인(Get it Right)을 확대
- 최대 400백만 파운드의 자금을 투입하여 고성장-창의적 기업 지원
- ’23년까지 창조산업의 수출 50% 확대를 목표로 무역·투자위원회(Trade and Investment Board)를 설치
4) 지역(Places)
- 영국 전역에 창조센터(Creative centre)를 설립하여 세계적 수준의 창조산업 육성 지원
- 향후 2년간 2,000만 파운드(292억 원)의 문화개발기금(Cultural Development Fund)을 조성하여 파트너십 기업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