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데이터 과학 교육 강화 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8-05-25
  • 등록일 2018-05-28
  • 권호 119

 

□ 미국 국립학술원은 대학의 데이터 과학 교육 강화 방안*을 발표(’18.5.)

 

  * Data Science for Undergraduates : Opportunities and Options 

 

○ 데이터 과학*은 산업 혁신을 가져올 분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와 관련 ‘데이터 과학자’ 육성을 위한 새로운 비전 제시가 필요  

 

  * 데이터의 수집, 저장, 통합, 분석, 추론, 윤리적 판단 등의 활동을 포괄 

 

○ 현재 많은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데이터 과학 교육 수요에 대응한 전공 및 강의를 신설  

 

< 데이터 과학 관련 대학 교육 >

구분

주요 내용

교양 및 기초 과목 개설

데이터 과학 기초’, ‘데이터를 활용한 추론과 같은 기초 교양 수업 제공

데이터 과학 전공 학위

경영대, 수학과, 통계학과, 컴퓨터 공학과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과학 관련 전공 신설

데이터 과학 부전공 프로그램

학생들이 데이터 과학의 개념, 도구, 기술에 노출될 수 있도록 부전공 프로그램 운영

2년제 학위 및 인증제도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기술을 제공하거나 4년제
대학으로의 편입 지원

기타 인증제도

대학기관과 민간 기업을 통해 데이터 과학 및 컴퓨터 분석과 관련한 인증서 제공

온라인 공개강좌(MOOCs)

특정 기술에 특화된 온라인 강의로 신속한 교육 제공

여름 프로그램 및 부트캠프

정규 교육과정이나 실무 훈련을 보조할 수 있도록 단기간 집중 교육 제공

 

 

 - (권고1) 데이터 기반 시대에 맞게 모든 학생이 데이터 과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발전시키고, 전공 및 부전공 프로그램 개설  

 

○ 데이터 과학은 기존의 컴퓨터 공학, 통계학 등 기존 강의를 통합한 형태로 제공되나, 점차 새로운 형태로 발전이 필요 

 

 - (권고2)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학위 준비 및 성공적 경력 개발이 가능하도록 지원 

 

○ 학생들이 데이터를 활용해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데이터 통찰력*’을 높여 윤리적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  

 

  * 수집할 데이터 결정, 데이터 사용권한 취득, 데이터 소스의 올바른 인증, 데이터 정확성 검증,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윤리적 표준 적용  

 

 - (권고3) 대학은 데이터 과학 특성이 고려된 윤리 교육 내용을 전 교과 과정에 포함시키고, 데이터 과학계는 윤리강령을 채택  

 

○ 다양한 전공에서 데이터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개방형 온라인 강좌(MOOCs) 확산 등 학생의 요구에 맞는 교과과정 개발 및 새로운 교수진 구성 필요  

 

 - (권고4) 대학은 학과 간 데이터 과학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진 공유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마련  

 

○ 데이터 과학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강의와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 꾸준한 평가가 필요  

 

 - (권고5) 데이터 교육 프레임워크, 데이터 공유에 대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 방법론 개발  


< 데이터 과학 프로그램 개선 과정 예시 >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