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범부처 전략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25
  • 등록일 2018-05-28
  • 권호 119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범부처 실무그룹은 연방기관 간 연구 조정·지원을 위한 전략계획(‘18~’22)**을 발표(’18.5.) 

 

  * 미생물군 유전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대기 등에 공존하는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 전체를 의미  

 

  ** Interagency Strategic Plan for Microbiome Research FY 2018~2022 

 

○ 최근 마이크로바이옴이 질병 치료, 작물·가축 관리, 환경 보전, 에너지·자원 보존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면서 관련 연방기관 간의 연구 협력·조정 필요성 증가 

 

  ※ NSTC 내 생명과학 분과위원회는 앞서 ’15년도에 마이크로바이옴 지도 작성 촉진을 위한 위원회(FTAC-MM)를 설립하고, ’16년 범부처 실무그룹을 발족  


< 마이크로바이옴 8대 활동 분야와 연방기관 간의 관련성 >



 

○ 인체 건강·영양, 작물·가축 건강·안전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제품·서비스 개발 및 산업적 활용 촉진 연구목표 제시 

 

 - 중복방지 및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학제 간 연구 촉진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커뮤니티 내 정보 공유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플랫폼 기술 개발  

 

 -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 전략적 연구분야로 인체건강·안전, 식량생산, 에너지, 생태계 서비스 등 선정

 

① 인체건강 및 안전 

 

 - (질병 예방) 미생물은 인간의 건강과 발달에 있어 소화, 면역체계, 전염병 방어 기능을 제공하므로, 미생물 기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 치료법 개발 

 

  ※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해 암치료 시 환자의 면역체계를 회복  

 

 -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 증가로 약효를 잃은 전통 약제를 보완하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 

 

  ※ 백악관은 ’15년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퇴치 계획을 발표하고, 미생물을 통해 항생제 내성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항균제를 발견  

 

 - (영양) 식품 및 장 내 미생물과 그 효과가 미치는 영향 평가

 

② 식량 생산 

 

  ※ 향후 33년 동안 식품, 사료에 대한 세계적 수요가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경작할 수 있는 땅과 물의 양은 감소  

 

 - (토양) 토양 생태계 내 미생물의 작용을 이해하고, 토양 작물의 개발 및 사용 확대 

 

 - (농작물) 농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과 상호작용 연구  

 

 - (동물) 수의학 의료 개발 및 질병 저항성 강화  

 

 - (식품안전) 식인성 병원균 검출을 위한 식품 및 식물 미생물 영향 조사

 

③ 에너지 

 

  ※ 마이크로바이옴은 고효율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자원 생산에 중요 역할 수행 

 

 - (폐기물 전환) 폐기물 및 CO2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및 전력 생산  

 

 - (바이오에너지 작물) 미루나무 균류 등 식물의 에너지 원료 개발 가속화 

 

 - (재생가능 자원) 환경 미생물, 천연·합성 미생물 분해 효소 발견 

 

 - (화석연료) 석유, 가스폐수에서 미생물 프로세스 탐색을 통한 에너지 자원 회수 증가

 

④ 생태계 서비스  

 

 - (야생동물 건강 및 보전) 야생동물 질병 진단을 위한 실용적 방법 개발  

 

 - (공중보건) 병원 등 공공건물의 미생물군집 평가를 통한 공중보건 향상  

 

 - (화학, 금속, 물, 탄소 순환) 미생물 군집 환경 공정 연구  

 

 - (오염 정화) 미생물을 활용한 오염된 폐수, 토양 등의 정화 연구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