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미 무역마찰이 과학기술 산업에 미칠 영향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25
  • 등록일 2018-05-28
  • 권호 119

 

중국의 선안홍위안연구그룹(申万宏源研究)은 중·미 무역 마찰로 미치는 산업 영향력을 분석(’18.4.)   

 

  * 중국 제 1의 증권회사 소속 연구소로 250명의 연구원으로 구성  

 

○ 지난 4월 미국 정부는 자국 기업의 중흥통신에 대한 부품, 상품, 소프트웨어와 기술 판매를 7년간 금지한다고 보도 

 

  ※ 미국의 <301조>는 미국의 대중투자 제한, 대중 신제품 규제철폐, 중국기업의 미국 내 인수합병 규제 완화 등을 골자로 함  

 

 - 세계적으로 이번 교역이 전면적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경우, 미·중 양국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질 전망  

 

○ ’17년 중국과 미국의 수출액을 비교해 보면, 전기기계, 음향장치, 부품이 각각 1위를 차지 

 

 - (對미 수출액) 상위 5대 품목은 전기기계, 음향장치 및 부품(1,985억 달러), 기타제품(520억 달러), 섬유제품(230억 달러), 비금속 및 제품(230억 달러), 차량, 항공기, 선박, 운송장비(197억 달러)가 차지  

 

 - (對미 수입액) 상위 5대 품목은 전기기계, 음향장치 및 부품(341억 달러), 차량, 항공기, 선박, 운송장비(300억 달러), 식물제품(170억 달러), 화학공업(148억 달러), 광학의료기기(118억 달러) 등 5개 품목이 70%를 차지  

 

○ 중국은 미국과 경합 중인 상위 5개 품목의 경쟁우위가 갈수록 좁혀지고 있고, 가공무역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중국의 기술추격이 가속화 되고 있음  

 

 

 

○ ’17년 미국의 대중국 첨단기술제품 수출은 357억 달러이며, 수입은 1,710억 달러임

 

 - 첨단기술제품 무역 적자는 1,354억 달러로 적자 비중이 36%를 기록 

 

 - 특히 ‘16년 대비 중국의 하이테크 제품 비중이 빠르게 성장하여 미국의 첨단 기술제품 수입액 증가율이 15.9%인 반면, 수출액은 6.6%에 그침


< 對중국 첨단기술제품 수·출입액 >

 


 


 - 첨단 제품 가운데, IT 분야는 미국의 대중 무역 적자가 가장 두드러진 분야로 1,510억 달러에 달한 반면, 우주 분야에서는 153억 흑자를 기록  

 

○ 미국이 중국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항공우주장비, 고속전철장비, 차세대 정보통신, 농업기기, 로봇, 생물의약, 의료기기, 신재생에너지, 선박해양장비 순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  


< 중국제조 2025 분야에 미칠 영향 > 

중점 발전분야

미국 수출 비중

미국 수입 비중

항공우주설비

34.3%

58.2%

고속철장비

29.0%

4.9%

차세대 IT기술

20.7%

2.8%

농업기계장비

15.7%

28.7%

수치제어선반 및 산업용 로봇

11.3%

6.1%

바이오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기

5.0%

46.1%

신에너지 및 신소재

3.1%

6.3%

선박 및 해양장비

0.5%

N/A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