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주요국 정부의 혁신전담팀 현황 및 의미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4-08-01
- 등록일 2014-09-01
- 권호 30
□ ‘14년 8월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는 Bloomberg Philanthropies와 Nesta의 보고서에 기반 하여 20개 국가 정부*의
혁신팀을 분석‧소개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를 모두 포괄
○ 최근 세계적인 추세는 정부서비스나 시민참여에 있어 얼마나 기술 및 혁신적인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평가하는 추세
□ 6개 대륙에 걸쳐 20개 팀을 조사하여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
○ (지역적 참여를 위한 정부 이용) 선거를 통한 선출직 관료의 시민참여 방안 확대
- 서울의 혁신부서는 시민 참여를 통해 공공 서비스를 재 디자인하고, 공유도시(Sharing City)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 중
- 즉, 시민들을 커뮤니티의 중심에 위치시켜 정부가 시민들을 위해 일을 할 수 있도록 추진
○ (멀티 스테이크홀더 파트너십) 독자적으로 일하기 어려운 정부의 특성상 협력관계 구축 추진
- Open Government Partnership(OGP)은 시민사회와 함께 하는 다자간 이니셔티브로써 더 나은 정부 투명성, 책임감, 참여성,
그리고 최신 디지털 기술사용을 증진하는 것이 목표
○ (초기 실험과 잦은 실험) 불확실한 분야에 대한 정부의 시도가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제한되는 경향
- 반면, 핀란드 Sitra는 혁신 보조금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와 의료분야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책적 이슈들을 변환하는 실험을
육성
※ 실용적인 연구와 실험에 투자를 하며, 또한 초기단계의 기업들에게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