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실패요인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6-08
  • 등록일 2018-06-11
  • 권호 120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는 혁신 클러스터 혁신 지구 개발사례 및 성공·실패요인을 분석*(’18.5.) 

 

  * Clusters and innovation districts: Lessons from the United States experience 

 

○ 클러스터는 기업·대학·연구기관 등이 집중적으로 입지하여, 새로운 아이디어가 혁신 및 생산성 향상으로 연계될 수 있는 환경 제공

 

 - 경제적 자산, 물리적 자산, 네트워킹 자산을 바탕으로 형성 

 

< 혁신 클러스터 3대 자산 >

자산 분류

세부 자산

주요 사례

경제적 자산

혁신 동력

- 연구 기반 고부가가치 부문, 디자인·그래픽·미디어·건축 등 창조적 분야, 전문화된 중소기업

혁신 촉진자

- 인큐베이터, 기술이전조직, 엑셀러레이터, 개념검증센터, 직업훈련 시설 등

편의 시설

- 병원, 상점, 식당, 호텔

물리적 자산

공공 자산

- 공원, 광장, 도로

민간 자산

- 연구 공간, 사무실, 상점

네트워킹 자산

공식적 회의

- 정기적 기술 회의, 워크숍, 컨퍼런스

비공식적 회의

- 지역 내에서의 일상적인 만남

 
○ 미국 사례로 오바마 정부에서 제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한 Manufacturing USA* 프로그램에 주목 

 

  * 대학, 연구자, 창업가 간의 협동연구 촉진을 통한 첨단제품 개발 및 제조역량 강화 프로그램 

 

 - 클러스터의 장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자동차용 경량 소재, 가상현실, 로보틱스 등 첨단 제조업 발전을 촉진 


< Manufacturing USA 프로그램 참여자 간의 상호 연결망 >


 


○ 다양한 클러스터 및 혁신 지구 개발사례를 통해 혁신 클러스터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도출 

 

<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실패 요인 >

구분

요인

내용

성공

요인

핵심역량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역량 보유

펀딩

정부, 기업, 엔젤 투자자를 통한 기업 펀딩 공급

리더십

클러스터 육성 정책을 수립하는 리더십 조직

연구자

역량 있는 연구자 집단을 보유하거나 영입할 수 있는 정책

기업 역량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조언, 멘토링 서비스 제공

제품 수요

정부 조달의 활용 등 클러스터 초기 제품에 대한 고객 확보

기반시설

기업 활동 및 인재 유치를 위한 공항, 고속도로, 주거 및 교통시설

아이디어

클러스터 내 연구자 간의 아이디어 공유를 촉진하는 물리적 공간 제공

규제

사업, 고용 등 기업 활동에 영향을 주는 규제 유무

근로자

STEM 분야 등 역량 있는 근로자 확보를 위한 유인책 및 교육 프로그램

편의시설

연구자 간 상호교류를 촉진하는 문화 및 편의시설 확충

장기 비전

장기간 클러스터 육성 기간을 고려한 정부의 전략계획 수립

실패

요인

계획 타당성

실현 가능성 및 타당성 있는 전략계획 수립

하향식 접근

현장 및 기술 이해도가 높은 과학자 및 기업인 의견 수렴

역량 부족

목표 달성에 대한 역량이 부족한 경우 의사결정 양도

이익 상충

정책입안자의 사적·공적 이익 상충으로 인한 편향된 의사결정

 

○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정책을 제언 

 

 - 역량 있는 리더십 조직을 통한 클러스터의 핵심 경쟁우위 파악 

 

 -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자금 지원과 민간 부문의 자금 유치 

 

 - 인큐베이터, 교통시스템 등의 기반시설 투자를 통해 우수인재를 유치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연방 및 지방정부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 및 협력을 통한 클러스터 개발 

 

 - 초기 클러스터 제품 및 서비스 시장 형성을 위한 정부의 공공조달과 잠재 시장 및 구매자 파악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