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 변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6-08
  • 등록일 2018-06-11
  • 권호 120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사회경제동향 및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 변천 보고서를 발표(’18.5.) 

 

  ※ 본 동향분석에서는 이 중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 

 

○ ’90년대 냉전 종식 후, EU, WTO 출범으로 자유경제권 확대  

 

 - IT 산업이 집적되어 있는 실리콘밸리에서는 혁신 벤처기업의 탄생으로 각국 정부정책 및 기업전략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 

 

 - ’90년대의 일본은 거품경제 붕괴로 심각한 불황 하에 과학기술창조입국을 목표로 과학기술기본법(’95)을 제정하고, 제 1기 과학기술기본계획(’96)을 착수  

 

○ 21세기 들어 전 세계 시장은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신흥국 경제 위상이 확대되고 기후변화, 자연재해 등 전 지구적 과제가 동반 

 

 - 미국은 미국 경쟁력 강화계획(’06)을 발표하고 1년 뒤 미국경쟁력법을 채택  

 

 - 일본은 중앙부처 개혁을 위해 내각부에 종합과학기술회의(CSTP)가 신설되었으며, 국립대학 법인화(’04)를 실현 

 

○ 2010년대 이후 AI, Io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사회경제 변화는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한편, 고용상실, 사이버 테러 문제 등 새로운 과제 대두  

 

 - 유럽은 리스본 전략의 후속으로 지속가능 성장을 목적으로 ‘Europe 2020’(’10)을 채택하고, 연구개발전략인 ‘Horizon 2020’(’14~‘20)에서 탁월한 과학, 산업 리더십, 사회적 과제 실현 등 우선사항을 제시 

 

 - ’14년 일본의 CSTP는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로 조직 개편 

 

 - 제 5기 과학기술기본계획(’16~’20)은 사이버공간 및 물리적 공간이 융합된 사회(Society 5.0) 실현이 목표로 제시되었으며, 저출산·고령화 국가인 일본은 제조, 로봇기술, 데이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전망


< 일본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정책 변천 >

 

정책

프로그램

1990년대

 

과학기술기본법 제정(’95)

1기 과학기술기본계획(’96-’00)

: 제도개혁, 정부투자 확대

과학기술진흥사업단 설립(’96)

대학 등 기술이전촉진법(TLO제도)(’98)

일본판 바이돌법(’99)

제조기반기술진흥기본법(’99)

종합과학기술회의 설치(’01)

휴먼프론티어 사이언스 프로그램(’90)

 

 

미래개척학술연구추진사업(’96)

중소기업기술혁신제도(SBIR)(’98)

프리벤처사업(’99)

2000년대

2기 과학기술기본계획(’01-’05)

: 전략중점 4대 분야, 경쟁적 자금 2배 확대

지식클러스터 지식재산기본법(’02)

(독립)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설립
(JAXA)(’03)

JST 연구개발전략센터 설립(’03)

JSPS 학술시스템연구센터 설립(’03)

3기 과학기술기본계획(’06-’10)

: 국가기간기술, 세계 최고수준 거점 30

 

장기전략지침이노베이션 25(’07)

연구개발력강화법(’08)

산업클러스터계획(’01)

Innovation Plaza, Innovation Satellite 설치(’01)

지식클러스터 설립사업(’02)

전략적 창조연구추진사업(’02)

대학벤처창출추진사업(’03)

대학지식재산본부 정비사업(’03)

이노베이션 재팬 대학견본시(’04)

사회기술연구개발센터(RISTEX) 설치(’05)

첨단융합이노베이션거점형성프로그램(’06)

정보대항해프로젝트(’07)

세계최고연구거점 프로그램(WPI, ’07)

전 지구적 과제대응국제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SATREPS, ’08)

최첨단 연구개발지원프로그램(FIRST, ’09)

전략적 국제공동프로그램(SIOORP, ’09)

2010년대

4기 과학기술기본계획(’11-’15)

: 과제달성형

 

과학기술이노베이션종합전략(’13)(매년 작성)

산업경쟁력강화법(’14)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종합과학기술회의 개편(‘14)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설립(’15)

 

5기 과학기술기본계획(’16-’20)

: Society 5.0

특정국립연구개발법인 설치(’16)

관민데이터활용추진기본법(’17)

지역이노베이션 전략지원프로그램(’11)

전략적 국제표준화가속사업(’12)

관민이노베이션촉진프로그램(’12)

대학 신산업창출거점프로젝트(START, ’12)

혁신이노베이션창출프로그램(COISTREAM, ’13)

혁신적 연구개발추진프로그램 (ImPACT, ’13)

대학 Seeds/Needs 창출강화지원사업(’13)

전략적 이노베이션창조프로그램(SIP, ’14)

리서치 콤플렉스 추진 프로그램(’15)

산학공동창조플랫폼 공동연구추진프로그램(OPERA, ’16)

 

미래사회창조사업(’17)

지정국립대학법인 지정(’17)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