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생명과학 산업의 경제 기여도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생명과학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6-08
- 등록일 2018-06-11
- 권호 120
□ 영국 생명과학청은 생명과학 산업의 경제 기여도를 분석*(’18.5.)
* Strength and Opportunity 2017 : The landscape of the medical technology and biopharmaceutical sectors in the UK
※ 9회차 연간보고서로 5,649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용, 매출, 기업 수 분석
○ 영국의 생명과학 산업*은 5,649개 기업체가 약 24만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연간 약 703억(약 101조 원) 파운드의 매출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고용기준으로 의료기술 분야에 51%,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49%가 종사
- 기업체 규모로는 의료기술 분야가 46% 비중을 차지한 반면, 매출액 기준으로는 핵심 바이오의약품이 연 매출 703억 파운드로 47%를 차지
* 핵심 바이오의약품(Biopharma core), 바이오의약품 서비스·공급(Biopharma Service&Supply), 핵심 의료기술(Medical Tech. core), 의료기술 서비스·공급(Medical Tech. Service&Supply)로 구성
< 생명과학산업 분야별 현황 >
○ 핵심 분야별로 살펴보면, 바이오의약품 내 소분자* 분야가 생명과학 산업 전체 고용의 21%(49,500명), 매출의 39%(약 39조 원)를 차지
* 소분자로 분류되는 사업은 항체와 같은 다른 종류의 치료용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
< 생명과학 산업의 분야별 상위 5개 분야 >
순위 | 고용 | 매출 | 기업 수 |
1위 | 소분자 | 소분자 | 소분자 |
2위 | 디지털 의료 | 일회성 약품 기술 | 디지털의료 |
3위 | 일회성 약품 기술 | 치료용 단백질 | 보조기술 |
4위 | 정형외과 기구 | 항체 | 체외진단 기술 |
5위 | 보조기술 | 체외진단 기술 | 일회성 약품 기술 |
※ 핵심 바이오의약품 : 소분자, 치료용 단백질, 항체; 핵심 의료기술 : 일회성 약품 기술, 정형외과 기구, 보조기술, 체외진단 기술, 디지털 의료
- 핵심 의료기술 내 디지털 의료 분야는 1만 명의 고용 및 12억 파운드의 매출 창출
< 디지털 의료 분야 현황 >
○ 바이오의약품(Biopharma) 분야는 2,066개 기업이 약 119,000명을 고용하고 총 482억 파운드(약 69조 원)의 매출을 창출
- (치료제 생산) 64,100명 고용 및 333억 파운드 매출을 창출
- (서비스 공급) 54,900명 고용 및 149억 파운드 매출을 기록
※ 서비스·공급 분야의 성장으로 인해 ’17~’16년에 1.9%의 고용이 증가하고, 소분자 분야의 성장으로 12.3%의 매출 증대
- 핵심바이오의약품 분야의 71%(477개), 서비스·공급 분야의 83%(1,154개)가 중소기업에 해당
○ 의료기술(Medical Tech.) 분야는 3,583개 기업이 121,900명을 고용하고 총 222억 파운드(약 32조 원)의 매출을 창출
- (의료기기판매) 약 97,300명 고용 및 178억 파운드 매출을 기록
- (서비스·공급) 24,600명 고용 및 44억 파운드 매출을 창출
※ 의료기술 사업의 성장으로 인해 ’17~’16년에 2.9%의 고용이 증가하고, 전 분야에 걸쳐 고른 매출 증가를 보임
- 핵심 의료기술 분야의 83%(2,172개), 서비스·공급 분야의 85%(832개)가 중소기업에 해당
○ 향후 영국 정부는 생명과학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계획을 발표
- R&D 투자 비율을 ’27년까지 GDP의 2.4%, 장기적으로 3%까지 확대
- 산업, 혁신가 및 영국의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 간 협력 지속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