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맥킨지, 인공지능의 잠재적 경제 효과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McKinsey&Company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6-08
  • 등록일 2018-06-11
  • 권호 120

 

AI, 다양한 산업‧비즈니스와 접목해 연간 3.5∼5.8조 달러의 경제 효과를 창출할 전망 

 

○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McKinsey & Company)는 산업 전반에 AI를 응용한 400개 사례를 분석해 이들이 창출하는 잠재적 경제 효과를 전망한 보고서*를 발행 

 

  * NOTES FROM THE AI FRONTIER INSIGHTS FROM HUNDREDS OF USE CASES(’18.4) 

 

○ 동 보고서에 따르면 소매‧여행‧금융‧농업 등 미국의 19개 전통 산업과 9개 비즈니스 영역에 AI 기술을 접목할 경우 연간 3.5∼5.8조 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추산 

 

 - 소매 부문이 연간 최대 8,000억 달러로 가장 높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운송‧물류, 여행, 소비재, 공공 사회재, 자동차·부품 부문 등이 두각 

 

 - 맥킨지는 이러한 경제 효과를 이끄는 AI 기술은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s)이라고 설명 

 

  ※ 400개 연구 사례 가운데 69%가 심층신경망을 활용해 매출과 비즈니스 성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분석 


< 각 산업별 AI 잠재적 경제 효과 및 영향 >



※ 자료 : McKinsey & Company, ’18.4. 

 

○ 아울러 AI의 경제적 효과가 19개 산업별로 영향을 미치는 비중은 1∼12% 수준으로 추산 

 

 - 특히 여행 산업은 복잡한 마케팅과 영업 등에 AI를 활용해 최대 11.6%의 매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 

 

 - 이 외 첨단기술을 포함한 하이테크, 운송·물류, 제약 산업에서 AI가 높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 

 

 - 반면 공공 사회재, 석유·가스, 화학 분야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편 

 

○ 한편 9개 비즈니스 영역에서는 △마케팅과 판매(최대 2.6조 달러) △공급망 관리·제조(2조 달러) 부문에서 AI 도입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 

 

  ※ 9개 비즈니스 영역: ①마케팅과 판매 ②공급망 관리․제조 ③위기 관리 ④서비스 운영 ⑤제품개발 ⑥금융·IT ⑦기업 전략과 재무 ⑧인적자원 관리 ⑨기타 운영  

 

○ 이와 같은 AI의 잠재적 경제 효과는 AI 활용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AI 혁신가, AI 도입 기업 및 정책 결정자 등에게 큰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맥킨지는 언급 

 

AI가 초래하는 기술‧산업‧사회 변화에 대응해 능동적 준비 필요 

 

○ AI는 단순한 기술 진보를 넘어 광범위한 산업과 사회 전반에 확산되며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동력으로 작용 

 

○ 이에 AI 기술을 명확하게 이해‧파악하고 경제와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선제적으로 예측하여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은 필수 

 

○ 우리 정부와 기업도 AI 중요성을 인지하고 체계적 대응 방안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연구와 투자가 꾸준히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 필요 

 

  ※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을 확정‧발표(’17.11)하며 AI 기반의 ‘지능화 혁신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등 새로운 변화를 본격 창출하기 위한 구체적 청사진을 제시 

 

 - 지금까지와는 확연히 다른 경제·사회구조의 대변혁을 고려해 유통·교통·교육·의료·농업 등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대응책을 논의·검토하며 AI의 긍정적 영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에 매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