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뇌 과학 연구프로그램 추진 현황 보도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8-06-22
  • 등록일 2018-06-25
  • 권호 121

 

□ 사이언스는 중국 뇌 과학 연구 프로그램 추진현황*을 보도(’18.5.)

 

  * Here’s how China is challenging the U.S. and European brain initiatives 

 

○ 중국은 인구 고령화로 인한 뇌 과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서구권에 비해 동물실험에 관대한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뇌 과학 연구가 추진 

 

 - 우수한 인재와 시설 및 커다란 시장을 바탕으로 상업적 기회가 높음  

 

○ 지난 ’16년부터 미국과 유럽의 뇌 연구 수준에 대응하기 위해 15년 장기 중국 뇌 프로젝트*(China Brain Project, ’16~’30)를 추진 중임 

 

  * 중국국립자연과학재단(NSFC) 및 중국과학기술부(MOST)의 ‘뇌 과학 및 뇌기반 지능기술’ 장기 연구 프로젝트 

 

 - ’16년 13차 5개년 계획에서 뇌 과학 연구를 양자기술과 함께 중대 과학기술 프로젝트로 설정 

 

 - 프로젝트는 인지 관련 신경 메커니즘 기초 연구, 신경 질환 초기 진단과 치료연구,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기술 발전을 위한 뇌 시뮬레이션 연구 등 3가지 요소로 구성  

 

  ※ 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심천 지방정부는 해외 귀국 연구원에 첫 5년간 3백만 위안(약 5억 원)을 지급하는 등 미국 유수 기관의 외국 연구원 영입에 박차 

 

○ 중국은 2개월 전 베이징에 중국 뇌연구소를 신설한데 이어 지난 주 상하이에 뇌 과학 및 뇌 기반 지능연구센터를 개설 

 

 - 상하이 시는 ’12년 뇌 지도 프로젝트와 ’14년 뇌 연구자 협력 프로젝트를 지원한 바 있으며, 매년 1억 5,700만 달러의 뇌 관련 연구 예산을 지원  

 

 - ’16년 중국 뇌 프로젝트 발표 이후, 베이징과 상하이의 연구센터는 중국 북부와 남부 연구 허브가 되어 각자 자율적으로 연구를 추진할 전망  

 

 - 특히, 상대적으로 동물 연구가 자유로운 환경을 살려 원숭이를 활용한 신경회로와 뇌 세포 간의 연결 고리 분석에 대한 관심이 고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