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7년도 중국 대학생 혁신창업 인식조사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8-06-22
  • 등록일 2018-06-25
  • 권호 121

 

□ 중국 글로벌연구센터(CCG)는 ’17년도 중국 대학생 혁신창업 인식조사보고서를 발표(’18.5.)

 

  ※ ’15년 대중창업·만중혁신 정부 방침에 따라 매년 창업기업의 규모가 증가하여 ’17년 기준 하루 평균 15,000개의 기업이 등록  

 

○ 최근 국무원은 교육체제 개혁 심화방안을 발표하고, 혁신 창업교육을 인재양성 전반에 확대시킬 것을 발표  

 

 - 대학생 중 60% 이상이 혁신 창업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공학, 경영학, 경제학 전공 학생의 비중이 상위 3위를 차지 


< 중국 혁신 창업 전공 > 


 

 - 창업 선호지역으로 2선 도시(중형도시)가 5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1선도시(32%), 3선 도시(15%)로 나타남  

 

○ 혁신 창업 요인으로 개인 성장․발전, 가치 실현, 경제 수익 창출 등의 답변이 높았으며, 창업 저해 요인으로 자금, 네트워크, 관리 경험 등이 도출  


< 중국 혁신 창업 요인 >


 


< 중국 혁신 창업 저해요인 >

 

 

 

 - 본인에게 친숙한 산업(18.8%)과 전공 관련 산업(13.7%)에서 주로 창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업자금과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산업(13.3%)과 IT 등 첨단기술산업(12.9%)도 선호  

 

 - 대학 혁신창업기금 지원과 정부 부처의 자금신청이 주요 출처로 각각 21%, 19%를 차지한 반면, 은행대출이 17%, 엔젤투자 및 벤처투자 유치는 13.5%로 저조한 편임 


< 중국 혁신 창업 자금 출처 >


 

 

 - 대학생의 혁신창업 교육은 주로 외부의 창업활동 참여 등이며, 대학 내 개설된 창업 커리큘럼은 16%를 차지  

 

 - 대학생의 혁신창업 교육 수요가 97% 이상으로 나타나 혁신창업 교육을 위한 전문가 확보와 교과 커리큘럼이 중요  

 

○ 과반수 이상의 대학생이 정부의 관련 지원 정책 제정을 희망  

 

 - 지원 정책 제정(57%), 프로젝트 기술 지원(18%), 창업자금 융자(10%), 창업자금 보조(7%), 혁신창업 분위기 조성(5%) 등 요구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