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지속가능한 에너지 혁신 촉진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6-22
  • 등록일 2018-06-25
  • 권호 121

 

□ 세계경제포럼(WEF)과 컨설팅 기업 KPMG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혁신 촉진 방안 보고서*를 발표(’18.5.)

 

  * Accelerating Sustainable Energy Innovation 

 

○ 에너지 소비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전체의 2/3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 발전이 필요 

 

 - 국제에너지기구는 26개 에너지 분야 중 태양광 패널 및 육상 풍력 발전, 에너지 저장, 전기자동차 3개 기술이 경쟁력 있는 것으로 간주 

 

  ※ WEF와 KPMG는 에너지 기술 분야의 혁신 촉진 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인터뷰, 문헌연구, 전 세계 21개국이 참여한 청정에너지 혁신미션 등을 수행 

 

○ WEF는 에너지 혁신 촉진을 위한 혁신 참여자, 혁신 과정 및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지속가능한 에너지 혁신 시스템을 강조 

 

 - (혁신 참여자) 연구자의 아이디어 창출, 정부의 혁신환경 조성, 학·연의 R&D 수행, 기업의 신규 사업을 통한 혁신적 기술 보급 등 시스템의 핵심을 구성 

 

 - (혁신 과정) 기초, 응용, 개발, 시연, 보급, 확대 등으로 구성되며 혁신 참여자는 죽음의 계곡(기술 준비도 6~8단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음 

 

 - (코디네이터) 소비자 수요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산업적 추세, 혁신 친화적 환경, 규제 정책, 공공 예산지원, 이해관계자 간 협력으로 구성 


< 에너지 혁신 시스템 개념도 >




○ 반면, 규제 리스크, 재원 조달, 기반시설 및 시장 접근성, 사회적·문화적 환경이 에너지 혁신 기술의 시장 보급과 기후변화 문제 대응에 장애요인으로 작용 


< 지속가능한 에너지 혁신에 대한 장애 요인 >

장애 요인

세부 내용

규제적 리스크

- 정책적 프레임워크 불신

- 기관 투자가의 기술 가치평가 능력 부재

- 정책적 유연성, 탄소 배출 가격, 평가 기준 부재

재원 조달

- 정책적 프레임워크로 인한 사업 수익성 저하

- 죽음의 계곡

- 기술적 위험 및 공공·국제 자금지원 부재

기반 시설 및 시장 접근성

- 혁신적 에너지 기술의 적용을 제한하는 관성과 안보 우려

- 솔루션 요소 간 일정치 않은 혁신 속도

- 사이버 보안 위험과 프라이버시 우려

사회·문화적 환경

- 충분한 공공-민간 파트너십과 장기적 협력 부재

- 지속가능 에너지에 대한 소비자의 낮은 활용

- 혁신 촉진에 대한 주요 의사 결정자들의 이해 부족

 


○ 단기간에 직접적으로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 정책, 공공 예산지원, 혁신 연대에 대한 개선 방안 제시 


< 지속가능한 에너지 혁신 개선 방안 >

개선 요인

세부 내용

규제 정책

- 초기 기술 도입자 인센티브 제공, 투자자 위험 감소 메커니즘, 청정에너지 도입의 합리적 근거 제공 등 다양한 정책적 유인 제공

- 무역, 투자, 산업, 인프라 개발 등 관련 부문과의 밀접한 상호작용

- 신뢰할 수 있는 정책 아젠다와 장기적 안정성 제공

공공 예산지원

- 타 분야 대비 낮은 민간 부문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여건 제공

- 상업화 과정에 초점

혁신 연대

- 혁신 촉진을 위한 민간-공공 부문의 이해관계자 협력

- 파트너십 성과 극대화 위한 파트너쉽 목적, 협력 부문을 명확화

 


○ 고용 기회 창출 및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 

 

 - 장기적·안정적인 에너지 혁신 지원을 위한 국립 연구소의 설립과 고위험·고수익 프로젝트 투자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공무원의 배치 

 

 - 독립적이고 국제적인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 혁신 촉진 펀드 조성 

 

 - 공동 투자, 개발단계별 투자 방식 등 공공-민간 협력 투자 제도 수립 

 

 - 공공-민간 협력을 통한 에너지 기술 로드맵 수립과 타 산업 간의 표준화 수행 

 

 - 상업화 이전 에너지 혁신 기술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공공 조달 

 

 - 정부 RD&D* 투자 결과 파악, 효과적 가용 자원 활용, 우선 투자 과제 설정 

 

  * Research·development & demonstration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