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제조업 국제 경쟁력 제고 방안 제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Mforesight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7-06
- 등록일 2018-07-09
- 권호 122
□ 미국 제조기업 컨소시엄인 Mforesight*는 제조업 부활을 위한 경쟁력 강화 전략을 논의**(’18.6.)
* 제조기업, 비영리단체, 대학, 연방기관 등이 참여한 국가적 컨소시엄
** Manufacturing Prosperity : A Bold Strategy for National Wealth and Security
○ 미국 제조업은 생산 및 R&D 활동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첨단기술 제품 생산 역량이 감소하는 등 많은 난관에 직면
- 기초적 생산기술과 역량 등 산업 공유자산의 부재로 국가 혁신 시스템이 약화되고 있음
- 미국 내에서 개발된 많은 기술이 라이선스를 해외로 넘기거나, 이전되어 해외 국가의 R&D를 보조해 주고 있는 상황임
- 단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벤처 캐피털 시장을 통한 R&D 투자의 한계로,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정부 R&D 투자가 요구됨
○ 미국의 혁신시스템은 R&D에서 대량생산으로 이어지는 혁신 사이클에서 단계별 문제점이 도출됨
-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의 절반가량* 되는 해외 유학생은 기술 지식 및 상용화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엄격한 이민 제도 등으로 자국행 귀환이 증가
* ’15년 기준 공학 56%, 수학 및 컴퓨터 53%, 물리학 44%
- 해외 기업의 미국 내 R&D센터에서 개발된 기술이나 해외 재단 지원으로 도출된 기술 성과가 해외로 유출
- 대학 내 개발된 기술은 시제품 제작 시 연구지원금이 적어 라이센싱 및 스타트업 등 기술 상업화 발전 가능성이 저조
- 단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벤처 자본의 특성상 수익 회수 기간 등의 이유로 하드웨어 및 제조기술에 대한 투자 기피
< 혁신 사이클 단계별 문제점 >
○ 향후 제조업 부활을 위해 유연성, 거대 자본시장, 우수 인력, R&D 역량 등 미국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전략을 검토
1) 중개적 연구 및 제조 혁신 투자
- 중개 연구센터(Translational Research Center)를 신설하여 유망한 연구 성과상업화를 위한 예산 및 전문가 제공, 추가적 Manufacturing USA 연구소 신설
- 공공-민간의 경쟁을 통해 기술적 과제에 대한 창의적인 솔루션 파악
2) 시범 제작 및 생산 규모 확대
- 정부 R&D 및 공공 조달 활용으로 시장 확대 및 민간 투자 유도
- 지역 분산형 제조 투자 펀드 제도를 조성하여 첨단기술 제품에 대한 투자 자본 제공 및 생산 규모 확대
3) 중소 제조기업 지원 강화
- 스마트제조 기술 도입 지원과 중소 제조기업 대상 교육 및 정보 프로그램 개설을 위한 예산 확보
- 은퇴 연구자 및 기업 임원을 활용한 산업 펠로우십 프로그램 신설
4) 국내 공학·기술 인재 양성
- 해외 유학생의 본국 귀환에 따라, 우수한 국내 출신의 이공계 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금 제도 확대
- 스마트 제조에 요구되는 기술 견습 제도 및 훈련 프로그램 국가 등록 체계 구축
-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이공계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