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기업 디지털 성숙도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7-06
  • 등록일 2018-07-09
  • 권호 122

 


□ 보스턴컨설팅그룹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을 평가하고, 디지털 성숙도와 기업 성과간의 관계를 분석*(’18.7.)

 

  * Digital Maturity Is Paying Off 

 

  ※ 기업 직원과 임원을 대상으로 디지털 중심 기업 전략, 핵심 기업활동 디지털화, 새로운 디지털 사업 성장, 디지털화 촉진 등 총 37개 항목에 대한 설문 실시  

 

○ 디지털 사업 모델에 투자 및 디지털 성숙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 

 

  ※ ’18년 조사결과 디지털 챔피언 23%, 디지털 낙오자 32%로 조사되어 전년대비 디지털 챔피언 수가 감소 

 

○ 디지털 챔피언의 경우 경쟁기업 대비 우위 확보(78%), 신제품의 시장 성공적 출시(62%), 효율적 비용 구조를 구축(60%)한 것으로 나타남 

 

 - 디지털 가속지수(DAI)가 25점 높을 경우 경쟁우위를 확보하거나 효율적 비용 구조를 구축할 가능성이 2배 증가하며, 제품의 질 및 소비자 만족도 또한 향상  

 

 - 새로운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 투자, 디지털 마케팅 및 개인 맞춤형 서비스, 미래 기술 대비 및 플랫폼 마련 등을 통해 성과로 연계

 

< 디지털 성숙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주요 동인 >


 

 

○ 디지털 성숙도는 미국이 EU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산업별로 서로 다른 디지털 역량 및 디지털화 수준을 보여줌  

 

 - 미국은 EU보다 더 많은 디지털 챔피언과 더 적은 디지털 낙오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전기통신 산업의 디지털 챔피언 기업이 46%에 달하는 반면 EU의 경우 27%에 불과 

 

 - 전기통신, 기술, 금융, 은행 산업의 경우, 제품 및 서비스가 디지털화되어 디지털 성숙도가 높은 반면, 헬스케어, 에너지 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디지털 낙오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미국과 유럽의 산업별 디지털 성숙도 분포 > 

 

 

○ 특히, 에너지, 헬스케어, 자동차 제조업의 경우 디지털 전략 도입에 문제점이 많이 도출되나, 동시에 혁신적 기술을 사업에 적용하거나 새로운 사업 기회 포착 가능

 

< 산업별 디지털화에 대한 기회 및 과제 >

산업

주요 과제

주요 기회

에너지

-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자동차, 등 기술 경쟁 심화

- 비용 절감을 위한 합병 압력

- 에너지 소비를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 활용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기술 적용

헬스

케어

- 공급사슬 부문의 디지털화 속도 부진

- 파트너 생태계와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할 체계적인 접근법 부재

- 환자 포털이나 원격 진료 등 고객과의 디지털 상호 작용

- 치료법 결정이나 예방을 위한 생태계 데이터 활용

자동차

제조

- 개발과 제작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자산 주도적 사업

- 테슬라나 우버와 같은 자산 비의존적 신생 기업

- 자동차 디지털 플랫폼과 생태계 구축

- 분석과 인공지능을 통한 핵심 과정의 디지털 및 자동화

 

 

○ 기업이 디지털 기술을 전략 및 사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 

 

 - (차세대 기술 역량 구축) IT기술 관련 역량을 확보해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과 같은 유망 기술 활용 

 

 - (소비자 중심의 디지털화 주도) 소비자 만족도, 제품 품질 향상, 개인 맞춤형, 디지털 마케팅 등에 초점을 맞춰 디지털화 추진 

 

 - (디지털 사업 기회 포착) 핵심 사업을 디지털화하는 동시에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부문을 파악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