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포브스, 18년 글로벌 상장기업 및 100대 혁신기업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포브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7-06
  • 등록일 2018-07-09
  • 권호 122


□ (#1) 글로벌 2000-세계 최대 상장기업(Global 2000 - The World's Largest Public Companies) 매년 세계 주요 기업의 매출과 순이익, 자산, 시가총액 등을 종합 평가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위 2,000개 기업을 선정

○ 제 16회를 맞이한 올해는 60개국의 상장 기업이 포함 

 

○ 2,000개 기업의 총 매출액은 39.1조 달러, 순이익은 3.2조 달러, 자산은 189조 달러, 시가총액은 56.8조 달러며 모든 통계 수치는 전년 대비 두 자릿 수 증가했으며 특히 순수익은 28% 증가

 

< 포브스가 선정한 글로벌 상장기업 중 상위 10개 기업 >

순위

기업

국가

업종

매출액

순이익

자산

시가

총액

(단위: 10억 달러)

1

ICBC

중국

주거래 은행

165.3

43.7

4,210.9

311

2

중국건설은행

중국

주거래 은행

143.2

37.2

3,631.6

261.2

3

JP모간체이스

미국

주거래 은행

118.2

26.5

2,609.8

387.7

4

버크셔해서웨이

미국

자본투자중개업

235.2

39.7

702.7

491.9

5

중국농업은행

중국

지역 은행

129.3

29.6

3,439.3

184.1

6

뱅크오브아메리카

미국

주거래 은행

103

20.3

2,328.5

313.5

7

웰스파고

미국

주거래 은행

102.1

21.7

1,915.4

265.3

8

애플

미국

컴퓨터 하드웨어

247.5

53.3

367.5

926.9

9

중국은행

중국

주거래 은행

118.2

26.4

3,204.2

158.6

10

핑안인슈어런스그룹

중국

보험

141.6

13.9

1,066.1

181.4

14

삼성전자

한국

컴퓨터 하드웨어 및 반도체

224.6

41

293.2

325.9

  ※ 자료 : 포브스, ’18.5.11

 

○ ICBC와 중국건설은행이 1, 2위에 올랐고 3위는 JP모간체이스가 차지하는 등 올해 상위 10개 기업은 애플을 제외하고 모두 중국과 미국의 금융회사 

 

 - 버크셔해서웨이, 중국농업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웰스파고, 중국은행, 핑안인슈어런스그룹 등 금융회사가 대거 10위 안에 포함 

 

 - 미·중 간 무역 긴장감이 확대되고 있지만 미국 기업이 여전히 전체 2,000개 기업 중 30% (560개, 중국은 291개)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15년 이후 처음으로 상위권을 양국이 균등하게 분배 

 

○ IT 기업 중에는 애플이 1위로 가장 높은 순위였으며 삼성전자가 2위 

 

 - 삼성전자는 매출 11위, 순이익 4위, 자산 114위, 시장가치 12위 등 각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종합성적 14위를 기록.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100위권에 진입 

 

  ※ 삼성전자의 순위변동: ’13년 20위→’14년 22위→’15년/’16년 18위→ ’17년 15위 

 

 - 그 외 MS(20위), 알파벳(23위), 인텔(49위), IBM(67위), 페이스북(77위), 소니(86위) 순으로 집계 

 

□ (#2) 세계 100대 혁신기업(The World's Most Innovative Companies) 신기술이나 서비스를 얼마나 지속해서 만들 수 있는지 평가해 지수화 하는 ‘혁신 프리미엄(Innovation Premium)’을 기반으로 ’11년부터 매년 글로벌 기업을 평가하여 100대 혁신 기업을 선정
 

○ 올해는 클라우드 기업들(서비스나우·워크데이·세일즈포스)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이슈가 되었음을 증명  

 

 - ’04년 설립된 ‘서비스나우’는 기업 대상의 IT 서비스 관리(IT Service Management, ITSM)를 주력 사업으로 삼고 있으며 서비스 도입부터 관리·교체까지 종합 클라우드 솔루션을 보유 

 

 - 올해 처음으로 명단에 오른 클라우드 솔루션 업체 ‘워크데이’도 재무·인사 분야에 특화한 클라우드 기반 앱(응용프로그램)을 기업과 정부·교육 기관 등에 제공 

 

 - ’17년 1위였던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 ‘세일즈포스’는 3위로 하락했으나 여전히 상위권에 위치

 

< 포브스가 선정한 상위 10개 혁신기업 >

순위

기업

국가

업종

성장률

Innovation Premium

1

서비스나우

미국

소프트웨어 & 서비스

39.02%

89.22%

2

워크데이

미국

소프트웨어 & 서비스

36.07%

82.84%

3

세일즈포스

미국

소프트웨어 & 서비스

24.88%

82.27%

4

테슬라

미국

자동차 및 부품

67.98%

78.27%

5

아마존

미국

소매업

30.8%

77.4%

6

넷플릭스

미국

소매업

32.41%

71.23%

7

인사이트

미국

제약회사

38.93%

70.59%

8

힌두스탄 유니레버

인도

가정&개인 제품

11.49%

67.2%

9

네이버

한국

소프트웨어 & 서비스

19.36%

64.62%

10

페이스북

미국

소프트웨어 & 서비스

47.09%

64.42%

 

 

○ (국가별) 혁신 기업 100개 중 미국 기업이 51개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중국과 일본이 각 7개, 인도 5개, 한국이 4개,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각 1개씩 포함 

 

 - 우리나라의 경우 네이버(9위), 아모레퍼시픽(16위), LG 생활건강(28위)가 작년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셀트리온(14위)이 새롭게 진입  

 

 - 특히 상위권을 유지 중인 네이버는 혁신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인공지능(AI)·기계학습·심층학습(딥러닝)·자율주행 등 스타트업 29곳에 투자하며 기술플랫폼기업으로의 진화를 지속적으로 시도 

 

  ※ 네이버 순위변동: ’14년(53위) → ’15년(21위) → ’16년(13위) → ’17년(9위)→’18년(9위) 

 

○ (업종별) ICT 부문이 총 24개로 집계되었으며 SW업종이 압도적으로 우세 

 

 - 소프트웨어 & 서비스(19)/ 반도체 & 반도체 장비(2)/ 하드웨어 & 장비(2)/ 전기통신서비스업(1) 

 

  ※ ’17년에는 19개: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5) / 소프트웨어 & 서비스(4) / 컴퓨터 서비스(3) / 인터넷 & 카탈로그(Catalog) 소매(3) / 전기통신서비스업(1) / 산업용 장비(1) / 반도체(1) / 전기(1) 

 

□ 제 4차 산업혁명으로 급변하는 산업 패러다임, ‘혁신성’ 제고해 미래지향적 발전 도모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패러다임의 변화가 가속화하면서 새로운 혁신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점 

 

○ 우리나라는 IT 분야의 기업이 글로벌 상장 기업리스트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 가운데 혁신기업 또한 증가하고 있는 만큼 미래 가치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차세대 비즈니스 발굴과 사업 다각화를 적극 도모해 경쟁력 제고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