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EU 갈릴레오 프로젝트, 추가 위성 2기 궤도진입 실패로 계획 수정 불가피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스페이스뉴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4-08-23
- 등록일 2014-09-22
- 권호 31
□ 현재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시스템설계를 위하여 4기의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시켜 시험운영 중
○ 총 30대 위성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5, 6호 위성이 소유즈(Soyuz) 상단발사체의 문제로 정상궤도 진입에
실패(2014.8.22)
○ 2020년 본격운영을 예고한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이번 실패로 인해 추가 투자 및 계획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
□ 갈릴레오 프로젝트(GALILEO PROJECT)는 최초의 민간 통제 위성항법시스템인 ‘GNSS-2 프로젝트’의 다른
이름으로, EU와 유럽우주국(ESA)이 공동 수행 중
○ 이 프로젝트는 세계시장을 독점하는 미국 GPS서비스가 군사․외교목적에 의해 특정지역의 서비스 공급중단이 가능하다는
위기감에서 시작
- 2020년 완전 개통을 위해 총 95억 달러(약 10조원)를 투입, 경제효과는 20년간 1,200억 달러(약 130조원)로 추정
○ 시스템은 30개의 위성으로 구성되며, 일반 1m, 상용 10cm 이하의 오차를 갖는 초정밀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으로,
미국 GPS 보다 3배 정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줄 예정
※ 미국 GPS시스템은 위성 24개를 이용 중이고, 시스템의 원활한 가동을 위해 하나의 수신체에 최소 4개의 위성(좌-우-높이-
시간)으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받는 원리로, 더 많은 위성에서 신호를 받으면 더 정확한 위치의 확인이 가능
○ 미국 GPS 단말기가 세계시장을 독점하는 상황에서, 향후 갈릴레오 기반 혹은 GPS/갈릴레오 겸용 단말기가 세계시장을
재편할 가능성이 존재
- 우리나라도 한-EU 간 갈릴레오 협력협정(2006.9.9)을 체결하여 공식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미국에 의존해 오던 GPS시스템의
다원화를 통해 서비스 안전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
○ 우리나라는 총 500만 유로를 지원하기로 하였고, 갈릴레오의 효과성이 입증된 이후 서비스 이용이 가능
□ 위성항법시스템은 현재 국방, 행정, 통신 등 경제․사회 전반에 활용되고 있는 필수적인 시스템으로, 유럽이외에도
러시아, 일본, 중국 등 많은 나라에서 미국 GPS 주도권을 막기 위하여 독자 항법시스템을 추진 및 운영 중
<EU, 미국 GPS 시스템을 제외한 주요국의 GPS 시스템 관련 동향>
국가 | 내용 |
일본 JRANS (Japanese Regional Advanced Navigation System) | • 자국 내 GPS 위치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추진 중인 시스템으로, 고층빌딩 때문에 GPS 정밀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도심지역 GPS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
• 3개의 긴 타원궤도를 갖는 위성과 1개의 정지위성으로 구성 |
러시아 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 미국 GPS에 대응하기 위해 GLONASS 위성항법시스템 개발‧운용(24기 위성)
• 러시아내 항공‧선박‧철도‧차량 및 특정(위험)물품에 대한 GLONASS 의무사용 법제 마련('08.8.) |
중국 북두항법시스템 (Beidou Navigation System) | • 큰곰자리를 의미하는 북두항법시스템(Beidou Navigation System)은 두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Twin-Sat 국지항법시스템으로 운영
• 정밀도는 미국 GPS 시스템과 비슷한 수준 |
□ 우리나라도 위성항법시스템의 이용안정성 확보를 위해 미국 GPS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보완적인 인프라 확보를
통한 시스템 다원화가 필요
○ 갈릴레오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기업과 연구기관은 기술축적과 수신기 원천기술 확보 등 기술력 향상 및 EU와의 정치․경제․
과학기술 등에 걸친 협력의 확대가 예상
○ 위성항법시스템 유료화(이용제한) 및 위성항법 선진국과 국익이 충돌할 경우, 군 무기체계운영이 마비될 위험이 존재하므로
경제․안보를 위해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이 필요
- 우리나라는 ’13년 국가 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서 ’40년까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의 구축계획을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