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연구 생산성 감소 원인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8-03
  • 등록일 2018-08-06
  • 권호 124

 

□ 월스트리트저널은 기술혁신 시대에 연구 생산성이 감소하고 있는 현상을 분석*(’18.7.)

 

  * In an Era of Tech Innovation, Whispers of Declining Research Productivity 

 

○ 스탠포드 및 MIT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전체 연구생산성*이 매년 6.8%씩 감소해 13년마다 기존의 절반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 연구 투입 대비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로 정의하고, 평균 총 요소생산성(TFP)의 증가를 연구 성과로 측정 


< 연구 생산성 및 실질 연구자 수 (1930년 = 1.0), 1930~2000년 >




 - 전 세계적으로 농업, 제약, 반도체 등 다양한 부문에서 연구 생산성 하락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R&D 노력에 대한 수익이 감소  


< 산업별 연구 생산성 성장률 및 반감기 >

 

분석 기간

연평균 성장률

하락기()

전체 경제

1930~2015

-5.3%

13

무어의 법칙

1971~2014

-6.8%

10

반도체

1975~2011

-5.6%

12

농업 (미국 R&D)

1970~2007

-3.7%

19

농업 (세계 R&D)

1980~2010

-5.5%

13

신약 개발

1970~2015

-3.5%

20

 


 - ’70년에서 ’07년 간 농업부문의 연구 노력은 2배 증가하였으나, 연구 생산성은 1/4로 감소  

 

 - 제약 산업은 연구 노력은 9배 많이 투입된 반면, 연구생산성은 1/5로 감소 

 

○ 연구생산성 감소 현상의 원인은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에 필요한 지식 요구의 증가와 디지털 혁신의 본질적 특성으로 분석 

 

1) 아이디어 창출에 필요한 지식량 증가  

 

 - 혁신은 지식의 총량을 증가시켜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전문성의 수준을 높여, 과거와 같이 한사람이 다양한 성과를 내는 것이 어려움 

 

 - 지식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혁신 창출에 시간이 필요하고, 여러 사람이 협력해야만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게 됨 


< 지식 증가로 인한 혁신 노력의 증가 >




2) 디지털 혁신의 본질적 특성  

 

 - 신제품을 만들기보다 기존 혁신을 재조합한다는 점에서 혁신이 완성되는 시간이 산업혁명시대에 비해 오래 걸림  

 

  * 이메일과 웹은 인터넷 기술을 통해 실현되었고, 웹 2.0은 소셜 네트워크와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개발로 이어짐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인터넷, 사물 인터넷이 새롭게 활용되고 있으며 데이터 사이언스와 인공지능 기술도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획기적으로 발전 중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