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대기업이 벤처투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올리버와이만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8-03
- 등록일 2018-08-06
- 권호 124
□ 컨설팅펌 올리버 와이만은 최근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등 기술 대기업이 벤처투자에 미친 영향을 분석*(’18.7.)
* Assessing The Impact of Big Tech on Venture Investment
○ 최근 글로벌 벤처투자 시장의 규모는 닷컴 사태 이전의 550억 달러에서 ’17년 1,50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하였으며, 특히 기술 산업*은 약 35%를 차지
- 반면 글로벌 벤처투자 계약 건수가 최근 2년간 연속 하락하는 가운데 일부 1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기술 대기업의 독점에 대한 우려가 제기
* 기술산업 중 벤처 투자 규모가 가장 큰 부문은 전기자동차(172%), 블록체인(150%), e-스포츠(124%), 비트코인(110%), 로보틱스(101%)로 나타남
< 글로벌 벤처 투자 시장 거래 건수 및 규모 변화, 1998~2017년 >
○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이하 FGA) 등 기술 대기업의 활동이 기술 벤처 투자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의견에 대해 관련 가설을 들어 대기업이 벤처시장 독점과 관련이 없음을 보여줌
(가설 1) FGA 투자 규모가 너무 높음
- ’11년 이후 FGA의 벤처투자 비중은 전체 투자액의 5%를 초과하지 않으며, 거래 건수도 1%에 불과함
< 전체 투자액 및 투자 건수 중 FGA 비중 (%) >
(가설 2) 기술 대기업의 M&A가 벤처투자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줌
- FGA 기업의 M&A가 글로벌 M&A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 미만이며, ’12년 구글의 모토롤라 인수, ’14년 페이스북의 왓츠앱 인수 당시도 10%에 그침
- 기술 대기업의 M&A는 벤처 투자자들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EXIT 전략을 제공하여 초기 단계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가설 3) 기술 대기업의 R&D가 기술 벤처 투자를 감소시킴
- FGA 기업은 직원 수 증가에 따라 R&D 투자를 최근 빠르게 확대해 왔으나, 전체 시장의 R&D 증가와 동일한 규모로 확대
(가설 4) 기술 대기업으로 인해 벤처투자 활동 위축
- 이는 기술 수준 성숙의 원인으로, 다른 유사한 산업 성숙도에 있는 산업 대비 최대 1,750억 달러(200조 원)의 벤처 투자자본을 유치
< FGA 기술 투자에 대한 우려 및 반박 >
NO | 잠재적 우려 | 분석 결과 |
1 | FGA 투자 규모가 너무 | FGA 투자액은 전체 투자액의 4%, 투자 건수의 1%에 불과 |
2 | 기술 대기업의 M&A가 벤처 투자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줌 | 기술 대기업의 M&A는 전체 대비 극히 일부이며, 세부 부문별로 분석한 결과 이들의 M&A가 기술 벤처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음 |
3 | 기술 대기업의 R&D가 기술 벤처 투자를 감소시킴 | 기술 대기업의 R&D가 최근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벤처 투자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음 |
4 | 기술 대기업의 존재가 타분야 대비 기술 분야 내 벤처 투자 활동을 위축시킴 | 산업의 성숙도를 감안할 경우, 기술 부문은 비슷한 수준의 다른 부문에 비해 더 많은 벤처 자본 투자를 유치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