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SW 업체 페이스북, HW 동반 공략…AI 인재 잇달아 영입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이코노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8-03
  • 등록일 2018-08-06
  • 권호 124

 

□ 글로벌 패러다임 변화로 이종분야 융합 시도 중, 핵심은 인공 지능(AI) 관련 인재 유치

 

○ AI 시대 가장 중요한 자원인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컴퓨터·스마트폰 등 단순 기기를 넘어 생활환경 전반으로 이용자 접점을 확대하려는 플랫폼 기업들 분주 

 

○ 특히 페이스북은 SNS를 중심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업체지만 ’16년부터 하드웨어 프로젝트 그룹인 ‘빌딩8(Building 8)’을 통해 하드웨어 기기 제작에도 집중 

 

 - 가상현실 업계의 강자인 ‘오큘러스’를 인수(’14.3월)한 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통합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최근에는 AI 스피커 출시 가능성까지 열어둔 상태  

 

  ※ 프로젝트명 ‘알로하(Aloha)’와 ‘피오나(Fiona)’로 불리는 스마트 스피커는 올해 상반기 출시 예정이었으나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연기 

 

○ 한편 하드웨어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시애틀과 피츠버그에 AI 연구 거점을 개설(’18.5.)하고 AI 관련 연구자와 전문가 유치에 주력 

 

  ※ 실리콘밸리·뉴욕·파리·몬트리올 등에 이어 시애틀·피츠버그가 추가되며 페이스북 AI 연구소는 총 6곳 

 

 - 새로운 AI 거점에 위치한 대학의 우수한 교수들과의 연구 협업, 또 미래의 AI 인재들을 유치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 

 

 - 교육기관에서 고용한 인력이 페이스북에서 활동하는 것뿐 아니라, 교육 기관에서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AI 연구 시설의 원칙으로 삼는다는 계획 

 

□ (반도체) AI에 초점 맞춘 자체 반도체 개발을 위해 인재 영입

 

○ 페이스북은 올 상반기 웹사이트 구인란에 ‘시스템온칩(SoC), 펌웨어, 드라이버 개발 조직’을 신설하고자 매니저를 찾고 있다고 공지 

 

 - 구글·아마존에 맞설 스마트 스피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가상현실(VR) 헤드셋 업그레이드 버전도 서둘러 개발하는 상황이라 독자적인 칩 개발 능력이 필요했던 것으로 업계는 관측  

 

○ 최근 구글의 칩(chip) 개발을 이끌어온 수석 개발자 ‘샤리아르 라비’를 스카우트했다고 해외 언론은 보도(7.14.) 

 

  ※ 라비는 구글의 ‘픽셀 비주얼 코어’ 팀에서 스마트폰 픽셀2에 적용한 시각 정보 처리 칩을 개발  

 

 - 이번 스카우트는 서버와 이용자 하드웨어에 힘을 불어넣기 위해 자체적으로 칩을 개발하려는 시도로 풀이  

 

 - 자체 개발한 칩을 하드웨어 기기, AI 소프트웨어, 데이터센터 서버 등에 활용할 것으로 예상 

 

□ (로봇) AI 연구를 위해 로봇공학 전문가들을 영입

 

○ 페이스북은 데이터센터 유지보수 작업에 로봇을 사용하고 있으며 로봇 연구에 실질적 관심을 보이던 상황  

 

 - 페이스북의 AI 과학자 얀 레쿤(Yann LeCun) 박사는 최근 AI와 머신러닝의 발전은 머신러닝을 로봇공학에 적용하는 연구자들로부터 출발했다고 언급하며 로봇 분야 연구자의 필요성을 강조 

 

○ 이에 美 카네기멜론대학의 제시카 하진스(Jessica Hodgins) 교수 등 최고의 AI, 로봇공학 전문가들을 잇달아 채용

 

< 페이스북과 협력한 로봇 전문가 >

교수 이름

해당 대학

페이스북 협력 사항

제시카 하진스

(Jessica Hodgins) 교수

카네기멜론 대학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페이스북 AI 리서치(FAIR)를 이끌며 로봇공학과 대규모 및 평생 학습, 상식 추론, AI 등을 연구할 예정

아브히나브 굽타

(Abhinav Gupta) 교수

카네기멜론 대학

하진스 교수와 협력

루크 제틀모이어

(Luke Zettlemoyer) 교수

워싱턴 대학

연어 처리 전문가로 FAIR 시애틀 지사에 합류

안드레아 베달디

(Andrea Vedaldi) 교수

옥스퍼드 대학

컴퓨터 비전 전문가로 FAIR 런던 지사에 합류

텐드라 말릭

(Jitendra Malik) 교수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컴퓨터 비전 연구자로 FAIR 멘로 파크 지사로 이동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커넥티드 플랫폼’의 시대 도래

 

○ 각종 센서와 통신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온라인 플랫폼만으로는 한계를 느끼는 소프트웨어 기업이 하드웨어 시장까지 진출하는 상황 

 

 - 기존에는 데이터 수집이 주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졌지만,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열리면서 하드웨어 기기를 통한 오프라인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이 확대 

 

 - 다양한 하드웨어로 이용자 접점을 확대하면 데이터 수집이 용이해지고 이는 플랫폼 성능 강화, 생태계 확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 

 

○ 한편 AI·로봇 등 기존 주력 산업에 소프트웨어 융합화가 진행되면서 하드웨어 특성을 이해하면서도 소프트웨어 설계 역량을 갖춘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  

 

○ 국내 기업도 네이버·카카오 등이 AI 스마트 스피커 시장에 진출해있는바 우수 인력을 유입해 기술역량을 강화하고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선순환을 촉발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