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자동차 신시대 전략회의 중간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7-24
  • 등록일 2018-08-27
  • 권호 125

 

□ 경제산업성은 제 2회 자동차 신시대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자동차 산업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 (’18.7.)

 

  * 일본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자동차 신시대전략회의 설치 

 

○ 일본은 2050년까지 전기자동차 비율 100% 달성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환경을 구축하고자 함 

 

 - 앱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MaaS)*를 본격화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Well to Wheel Zero Emission’ 도전에 기여  

 

  * Mobility as a Service의 약자로 이동을 서비스로 보는 개념 

 

 - 승용차 1대당 온실가스 90% 감축, 전기자동차는 100% 감축 목표  

 

○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개발과 글로벌 환경개선 실현을 위한 기본방침 및 실행방안 제시

 

 1) 오픈 이노베이션 촉진  


 <기본방침> 

 

 ∙ 산학관 협력을 통해 핵심기술인 전지, 연료전지, 파워반도체, 모터, 인버터, 소재 경량화 개발의 조기 실용화 및 생산성 향상  

 

 ∙ 내연기관 고효율화 및 감축 효과가 높은 바이오 연료, 대체연료 상용화 관련 산학관 협력 실현 가속화 

 

 ∙ 자율주행 시대를 고려한 모델 기반 개발 및 공급망 강화  


  < 실행방안 > 

 

 - 산학관 협력을 통해 전고체전지, 혁신형 축전지, 연료전지 기술개발 추진, 차세대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18) 

 

 - 열효율 60% 엔진 실용화를 위한 내연기관 탈탄소화·고효율화(’30), 차세대 바이오에탄올 실용화(’20)  

 

 - 모델 기반 개발* 구축 (’20)  

 

  * 일정한 표기법인 모델링을 통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요구사항을 분석·설계·검증·확인하는 것을 의미 


  2) 글로벌 과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기본방침> 

 

 ∙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탄소배출 제로(Well to Wheel Zero Emission) 개념 국제 사회에 전파  

 

 ∙ 국가별 상황에 맞는 전기자동차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일본 경험 공유 

 

 ∙ 일본 자동차업계 글로벌 공급망 내 친환경 대응 인재 육성 및 일본차 기술 수준 고도화  


  < 실행방안 > 

 

 - IEA 및 ERIA 등과 연계하여 차세대 자동차 보급목표(’19), 전기자동차 정책 기반 데이터 정비(’18)  

 

 - 인도·ASEAN 국가 등과 자동차 협력 정책 추진 

 

 - 해외 현지기업 전기자동차·전기자동차 부품 생산 인재 육성 지원(’19) 

 

 3) 사회시스템 확립  


 <기본방침> 

 

 ∙ 배터리 자원조달 안정화, 전기자동차 리튬이온전지 잔존성 평가방법 마련, 배터리 및 친환경차 에코사이클 구축  

 

 ∙ 차세대 자동차 보급시 사용사례별로 기술개발 및 환경정비 중점 실시  

 

 ∙ 분산형 에너지 사회를 향한 배터리전기차(B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보급 가속화 


  < 실행방안 > 

 

 - 코발트 자원 공동조달·비축 계획 수립, 리튬이온전지 잔존성능평가법 가이드라인 수립, 배터리 재사용시장 창출을 위한 배터리 공동 회수 계획 구축  

 

 - 민관 차세대 자동차 로드맵 작성(’18) 

 

 - BEV, PHEV에 축전된 전기를 전력계통으로 전환하여 이용하는 기술(V2G) 실증 시작(’18)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