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도시 혁신지역의 힘을 보여주는 Google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4-08-20
- 등록일 2014-09-22
- 권호 31
□ 개방형 혁신을 위해 ‘혁신지역(Innovation districts)'*이라 불리는 도시로 경제의 중심이 이동
* 자동차를 통해 접근 가능하였던 교외의 독립된 회사 캠퍼스와 달리 같은 건물 또는 가까운 거리에 편의시설 및 관련 기업,
연구소, 학교 등이 위치하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개방형 혁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 최근 수년간 혁신 기업과 인재들이 교외의 캠퍼스보다 편의시설이 모여 있는 도심지를 선호
- 고등교육을 받은 젊은 인재들의 생활선호도 변화와 더불어 비지니스 모델의 개방적·협력적 변화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
□ 10여 년 전부터 도시 내에 오피스를 설치한 구글(Google)의 경우 혁신 지역의 여러 이점을 차지
○ 기술중심 생태계 구축 및 선진연구기관, 재능 있는 인력과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역 전문성 활용 가능
○ 구글은 영국·미국 등 다양한 혁신지역에 캠퍼스 설립
- 런던 Tech City 혁신지역에 ‘12년 설치된 캠퍼스는 Silicon Roundabout 이라고 알려진 지역에서 협력과 멘토쉽을 강화하기
위한 창업 허브 역할 제공
- 뉴욕 첼시(Chelsea)지역에 2만여 평을 차지하고 있는 캠퍼스는 뉴욕 디지털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코넬 대학과 새로운
캠퍼스 설립 예정
- 구글의 도시지역 내의 이러한 투자는 혁신지역의 가치에 대해 알려주는 대표적인 사례
□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혁신지역 조성 기대
○ 창업 및 교육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중소·중견 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주변 지역 연구소 및 대학과의 연계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