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차세대 산업 구조변화 예측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7-20
  • 등록일 2018-08-27
  • 권호 125

 

경제산업성은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 차세대 산업으로 떠오르는 분야의 산업구조 변화를 예측한 국제경쟁력 보고서 발표(’18.7.) 

 

  ※ 노무라 경제연구소에 위탁해서 분석한 총 5개 분야 중 스마트 라이프 가전, 보안에코시스템 분야를 제외한 3개 분야 중심으로 재정리 

 

1. 전기자동차

 

○ 신흥국 사업자가 공급망 구조 및 차기 리튬이온전지(LiB) 시장 구조를 주도  

 

  * ’17년 기업 동력용 LiB 생산 능력 순위(GWh): 워터마(20), CATL(18), BYD(16), 구어쉬엔가오커(10), 베이징궈능(10), 텐진리선(10), FARASIS(10), 선전비커(8) 

 

 - OEM/배터리 업체 자원 관련 기업 연계 강화 및 리튬이온전지 자원의 한계 대안으로 폐전지 재사용 사업화 검토  

 

< OEM/베터리업체 자원 확보 동향 >

구분

기업명

동향

리튬

창청자동차

(長城汽車)

호주 Pilbara Minerals 주식의 3.5%2,800만 달러(호주)로 획득

BYD

5억 위안을 투자하여 중국 자원업체와 리튬개발 부문 연계

거린메이(格林美)

(CATL로 공급)

Glencore3년간 조달계획을 체결하고 5만톤 이상의 코발트를 공급 받기로 협의

펑신환추자원

(鵬欣環球資源)

콩고 광산업체 빈센트마이닝과 코발트 제품 판매 대리계약을 체결하고 1,500톤 조달한 경우 판매

롼콩(軟控)

캐나다 자원업체 e코발트 솔루션스에 출자하여 코발트 정제광물을 중국시장에 판매

니켈

거린메이(格林美)

VALE와 연계 모색 중

 


2. 자율주행 

 

○ 중국이 견인하는 자율주행 프로젝트 파이낸싱* 공급구조 및 신흥국이 견인하는 자율운행 시장 정착  

 

  * 장기 대규모 프로젝트에 담보 없이 투자  

 

 - 바이두는 ’18년 기존 대중교통을 대체하는 자율주행 소형버스 양산화 및 버스업체인 진루업스와 운전석과 핸들이 없는 자율주행 소형버스 아폴로 양산화를 추진 중  

 

 - ’19년 장화이 자동차(江淮汽車, JAC)와 협력하여 자율주행차를 생산할 예정이며, 베이징자동차와 Tier 3를 생산할 계획 

 

3. 모빌리티 서비스

 

○ 신흥국이 주도하는 모빌리티서비스 시장 및 EV화·자율주행화 활성  

 

 - 승차 공유, 자동차 렌트 등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선점을 위해 기존 자동차 OEM/Tier 1업체와 IT 플랫포머 간 경쟁 격화  


< 주요 모빌리티 서비스 플레이어 타업계와의 제휴 관계 >



 - 동 분야 최고기업인 Didi는 앱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MaaS) 플랫포머 기업과 제휴  

 

  ※ Didi는 ’22년까지 스마트 교통·자동차 기술 부문 글로벌 리더 부상을 목표로 함  


< 세계 주요지역 Maas 기업을 그룹 산하에 배치 >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