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8년 로봇산업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전자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7-07
  • 등록일 2018-08-27
  • 권호 125

 

□ 하얼빈 공업대학 로봇연구단은「2018년 중국 로봇산업 분석보고서」를 발표 (’18.7.)

 

  ※ 전문컨설팅 기관 즈장망(智匠网) 및 연구기관 중즈(中智)과기평가연구센터와 공동 연구 

 

○ 2017년 중국 로봇산업 시장 규모는 1,200억 위안이고, 전년대비 증가율이 25.4%로 세계 1위를 차지 

 

 - IFR 통계에 따르면, 중국 로봇시장 규모는 ’12~’17년 평균 증가율이 31.1%로, 세계 평균 증가율 17%보다 훨씬 높은 편임  


< 중국 로봇산업 시장규모 >



※ 자료 : IFR, 중국전자학회, RFC, 즈장망(智匠网) 

 

○ 그 중 산업용 로봇시장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로봇 증가율도 빠른 편임 



 - (산업용 로봇) ’17년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13만대로 증가율이 68.1%를 차지했고, 판매량은 14.6만대로 증가율 67.7%를 차지  

 

 


 - (서비스 로봇) 주로 가정용 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며, 교육, 동반자, 공공 서비스 및 의료 로봇 발전 가능성이 높음 

 

  ※ 최근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등 인터넷 기업들이 서비스로봇 영역에 진입하였으며, 서비스 총 로봇 특허출원 누계는 24,094건으로 중국 현지 출원자 비중이 95%를 차지 

 

 


 - (특수 로봇) 광산재해, 화재에서 반테러 폭발물 제거, 극한 환경 작업, 공중 및 수중 검사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응급구조 로봇 시장의 가능성 확대


○ 세계적 로봇 강국 진입을 위한 해결해야 할 문제점 도출  

 

 - (산업용 로봇) 세계 15대 주요 특허 출원자 중 일본 기업이 11개인 반면, 중국은 전무 

 

 - (서비스 로봇) 인간-기계 상호작용, 유연성 제어, 생체모방, 스마트 센싱 등 핵심기술 부족  

 

 - (특수 로봇) 응용의 특수성으로 사용자 확보가 어려워, 기업 이익창출 모호  

 

○ 향후, 산업투자 환경 개선 및 규범화에 집중하여 로봇 시장 경쟁력을 제고 할 전망  

 

 - 특히 중국 기업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에 로봇교육 보급 착수  

 

  ※ ’17년 중국 내 250개 대학은 ‘데이터과학 및 빅데이터 기술’ 전공을 신설하고 60개 대학은 로봇공학 전공을 신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