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NNI) 예산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8-16
  • 등록일 2018-09-10
  • 권호 126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2019 회계연도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NNI) 예산*을 발표(’18.8.)

 

  * The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Supplement to the President’s 2019 Budget 

 

○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는 나노기술과 산업 부문의 혁신을 통한 사회 기여를 목표로 ’01년을 시작으로 매 5년마다 수립 

 

 - NSTC의 주도 아래 총 20개 연방기관 및 위원회 등이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 연방기관 프로그램 예산은 예산관리국(OMB), 과학기술정책국(OSTP), 의회와 조율을 통해 설정 

 

○ ’19년 연방정부 예산안에 포함된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NNI) 예산은 14억 달러(약 1조 5,700억 원)이며, ’18년 14억 8,000만 달러보다 다소 감소 

 

 - 예산을 신청한 12개 연방기관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차지한 기관은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보건원(HHS/NIH), 국립과학재단(NSF), 에너지부(DOE), 국방부(DOD), 상무부 산하 국립표준기술연구소(DOC/NIST) 순으로, 전체 예산의 95% 차지 

 

< ’17~’19 회계연도 주요 연방기관 예산 현황 (단위: 100만 달러) >

연방기관

’17 회계연도

예산

’18 회계연도

예측치

’19 회계연도

예산()

상무부/국립표준기술연구소

80.7

70.1

57.9

국방부

143.3

143.7

125.9

에너지부

341.2

327.2

324.1

보건복지부/국립보건원

449.6

445.5

440.7

국립과학재단

465.7

420.8

387.7

상위 5개 기관 예산

1480.5

1407.3

1336.3

전체 예산

1,552.3

1,477.4

1,395.6

 

 

○ ’01년 이후 프로그램 예산은 ’10년까지 빠르게 증가해 오다 ’13년부터 일정 수준을 유지  

 

 - 각 연방기관은 국가안보와 국방력 강화, 생명과학, 의학, 신경과학 혁신, 첨단제조 산업, 나노전자 및 첨단컴퓨팅, 에너지 전환 및 저장 관련 목적에 맞는 관련 연구 지원  

 

○ 프로그램 예산은 기초연구(39%)에 대한 지출이 가장 많고, 응용·장비·시스템(28%), 기반시설·도구(16%), 시그니처 이니셔티브·그랜드 챌린지(13%), 환경·의료·안전(5%) 순으로 예산 배분

 


 

○ 연방기관은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의 추진성과 및 영역별 과제를 제시 


<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 목표별 성과 >

목표

성 과

세계 최고 수준의 나노기술 R&D 프로그램

·나노소재의 전기·광학·자기적 성질 규명, 나노과학 범위 확대, 감지 및 측정 기술 개발 등

기술이전을 통한

제품 상업화

·창업기업 육성, ICT 기술이전, 항공우주 및 자동차 산업 나노기술 적용, 표준 개발 기관 간 협력, 에너지·기반산업 기술 개발

교육자원, 숙련 근로자, 인프라 개발·유지

·나노기술 연구를 위한 도구 및 장치 개발과 연구센터, 연구소, 교육자원 등 연구 인프라 지원

책임 있는 나노기술 개발

·환경 및 인체에 대한 나노소재 영향 측정, 노동시장 내 잠재적 영향 완화, 책임 있는 나노기술 개발 정보 제공

 

 - (나노기술 시그니처 이니셔티브(NSIs) 및 그랜드 챌린지(GCs)) 센서 및 제조업 관련 나노기술의 상업화(NSIs)와 첨단 컴퓨팅 기술 개발(GCs) 

 

 - (기초연구) 혁신적 연구의 초기 단계 R&D와 물리, 생물, 화학 등 기초분야 투자 

 

 - (응용·장비·시스템) 의료장비, 무기, 우주 통신장비 등 연방기관별 목표에 맞는 나노기술 연구개발  

 

 - (기반시설·도구) 사용자 시설·장비 투자 및 인재 교육·훈련 

 

 - (환경·의료·안전) 환경, 의료, 안전에 미치는 나노기술 영향 연구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