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8 글로벌 블록체인 인식 조사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8-27
  • 등록일 2018-10-01
  • 권호 127

 

□ 회계컨설팅 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글로벌 블록체인 인식 조사 보고서*를 발표(’18.8.)

 

  * Global Blockchain Survey 2018 

 

○ 전 세계 15개 국가의 600명 기업 임원진들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4%가 소속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고 답변 

 

 - 임원의 25%는 블록체인 시범사업(10%)을 진행 중이거나, 이미 활용 중(15%)이고 32%는 개발 중인 프로젝트가 있으며, 20%는 연구단계 중임  


< 기업들의 블록체인 활용 단계 >



○ 블록체인 기술로 인해 기업의 활동 속도 증가 등 기존의 비즈니스 환경이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 (토큰화*) 원자재부터 완제품, 증권까지 범위가 확산되고 있으며, 거의 모든 비즈니스에서 블록체인 활용이 가능 

 

  * Tokenisation: 블록체인에 있는 실제 혹은 가상의 자산을 의미  

 

 - (가상화폐공개, ICO*) ICO를 통해 최근 ’18년 첫 5개월 동안 137억 달러를 모금하여, 기존 벤처캐피탈, 사모펀드 회사 및 은행이 제공한 부채·투자의 대안으로 부상 

 

  * Initial Coin Offering: 사업자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해 자금을 확보하는 방식  

 

 - (기업 플랫폼 통합) 재정, 인사, 고객관리 등 기업 활동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의 간소화, 데이터 공유 촉진, 보안성 강화 

 

 - (금융서비스 부상) 블록체인의 72%가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금융 산업이 미래 핵심 분야로 떠오를 전망  

 

  ※ 블록체인 내 핵심 산업: 금융(46%), 산업제품·제조업(12%), 에너지·유틸(12%), 헬스케어(11%), 정부(8%), 도소매업(4%), 엔터테인먼트·미디어(1%) 

 

○ 블록체인 기술 주도 국가로 미국(29%), 중국(18%), 호주(7%) 등을 꼽았으나, 3~5년 내 중국(30%)이 미국(18%)을 제치고 선두에 오를 것으로 예상 

 

 - 2030년까지 블록체인 기술이 연간 3조 달러의 기업 가치를 만들어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유럽 중심의 블록체인 기술 주도권이 조만간 중국으로 넘어갈 것으로 전망 

 
< 2018년, 2021~2023년 블록체인 선도국가 >

 


○ 블록체인 기술 도입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규제 불확실성(48%), 신뢰 부족(45%), 네트워크 통합 역량 부족(44%) 등이 주로 언급됨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방안은 금융 서비스를 중심으로 논의 중인 단계로, 전반적 규제 환경은 아직 미흡한 수준임  

 

 - 아직까지 블록체인 기술 관련 신뢰성, 속도, 보안성, 표준화, 대규모화 가능성 등에서 솔루션이 필요  

 

○ 향후 사업 부문내 블록체인을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  

 

 - 블록체인 관련 사업 활동이 참가자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명확한 사업 목표 설정  

 

 - 블록체인이 기존 산업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잠재력이 높으므로, 경쟁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기업간 블록체인 산업생태계 구축  

 

 - 블록체인을 통한 기술 접근 관련하여 세밀한 규칙과 표준 제시  

 

 - 불확실성이 큰 정부의 규제 정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