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관촌 40년 발전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고신기술산업도보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9-03
  • 등록일 2018-10-16
  • 권호 128

 

중관촌은 지난 40년간 고도의 경제구조를 통해 독특한 혁신생태계를 구축(’18.9.)

 

중관촌 전자거리에서 베이징시 신기술산업개발시험구, 중관촌 과학기술단지, 국가자주혁신시범구로 발전

 

 - ’84년 해정구 과학기술대회에서 최초로 과학기술 신산업 발굴전략 수립 후 ’87년 중관촌 과학기술기업이 148개가 설립되면서 전자거리를 조성

 

 - ’88년 베이징 시 정부는 <베이징시 첨단기술개발시험구 잠정조례> 발표

 

  * 중국 최초 첨단기술산업개발구의 지방 행정법규로, 중관촌 지역을 중심으로 하이뎬구의 100면적에 베이징시 신기술산업개발시험구를 구축

 

 

 - ’99년 국무원의 중관촌 과기단지 설립을 인허하여 대학과기원, 유학생 창업원, 소프트웨어원 등 전문단지 등이 구축되면서 창업 붐 조성


 - ’09년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 구축 허가로 1+6정책체계, 4조 등 정책 추진 

 

 - ’18중관촌과학성 구축 본격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9대 계획과 7대 행동이 포함되고, 혁신발전 12*라고 명명

 

  * 고급·정밀·첨단 산업 유도계획을 실시하고, 향후 2~3개 국가실험실을 설립하여 중국과 해외에서 가치가 높은 기초연구와 기술 프로젝트 지원

 

  ※ 혁신파트너 계획에 따르면, 매년 2억 위안의 전문프로젝트 자금을 배분해 과학자, 기업가, 투자자, 과학기술 중개인 등에 초점을 두어 중관촌 혁신 창업 혁신파트너 양성

 

(성과 1) 혁신생태계 육성, 대중창업·만중혁신 가속화

 

 - (창업거리) ’14년 해정구는 다양한 혁신창업 요인을 적극 도입하여 유명한 중관촌 창업거리를 구축하였고, ’18년 기준 입주기관이 육성한 창업보육단체가 2,921개임

 

  ※ 그 중 해외귀국 유학생과 외국인 단체가 355, 융자단체는 1,038, 융자 성공률은 35.5%, 융자총액은 2778,000만 위안임

 

 - (스마트제조거리) ’16년 중국 최초 스마트제조 분야 전체 산업사슬 서비스를 비교우위로 하는 혁신형 과기단지인 중관촌 스마트제조거리개방 운영

 

 - (인재) 천인계획 선정자는 1,040, 베이징시 해취공정 인재 319, 중관촌 고취공정인재 248, 각각 베이징시의 70%, 36%, 67%를 차지

 

 - (자본) 중관촌 창업거리의 경우, 세계 20개 국가의 50개 국제혁신기구와 혁신협력관계를 구축하고, 2,000여개의 벤처투자기관이 입주해 있으며, 창업보육기관은 2,459, 융자혜택 기관은 905, 창업투자액은 1418,000만 위안임

 

 - (창업서비스) 대학과기원 21, 국가급 전문 대중창업공간 93(베이징시의 55%), 시급 대중창업공간 105(베이징시의 49%), 구급 집중사무구역 148개를 주체로 하는 창업 서비스 매개체 구축

 

(성과 2) 프런티어 혁신을 유도하여 최첨단(고급/정밀/첨단) 산업 체계 육성

 

 - ’18년 상반기 해정구 GDP3,061억 위안으로 베이징시 1위이며 그 중 과기혁신을 핵심으로 하는 3차 산업이 9.4%증가, 증가율은 25%

 

 - (기업) 베이징 10대 최첨단산업에서 기술수준이 높고 발전 잠재력이 큰 선두 기업을 육성

 

< 최첨단 산업 중 발전 잠재력이 큰 기업 >

분야

현황

모바일 인터넷, 차세대 인터넷

·바이두, 레노버, 디디 등 5,000개 기업 유치 및 생산액 1,000억 위안, 총수입 3,000억 위안 이상

빅데이터 산업

·중국의 1/3 기반시설과 베이징시 85% 빅데이터 분야

·기업 집결, 총수입은 베이징시의 60% 이상

내비게이션

·북두싱통, 스웨이투신, 가오더 등 자주혁신 선두기업 입주

집적회로

·70개 기업이 입주하여 총 수입 200억 위안을 차지

바이오의약산업

·중관촌 내 45%의 매출수입이 있는 바이오의약 분야기업을 입주하여 수입 규모는 500억 위안

신소재, 신에너지,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안타이커지, 비수이위안, 중커산환 등 선두기업이 있으며, 총 수입은 2,400억 위안

문화, 과학기술 융합

·수입은 5,600억 위안으로 베이징시의 40% 이상을 차지

 

원천혁신의 허브로서 중관촌 과학기술성 구축 강화

 

 - ‘과기혁신 2030 중대프로젝트와 국가실험실을 적극 수용하고, 국가사이버 보안 분야 국가실험실 구축 준비

 

 -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인 해정원천혁신공동기금을 설립하고, 기초연구 분야 협동 신규 메커니즘을 모색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