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대학의 산학협력 유형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10-01
- 등록일 2018-10-30
- 권호 129
□ 문부과학성은 미국대학의 산학협력 유형을 조사하고 일본대학이 추진할시사점 도출(’18.10.)
○ 미국의 우수한 대학은 기업과 인재육성, 학제연구, 고부가가치 창출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산학협력을 추진해 오고 있음
- MIT와 필립스는 헬스테크와 커넥티드 라이팅*에 대해 5년간 총액 2천 5백만 달러의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
* 세대 조명제어를 통신선을 통해 연결하여 직류회로로만 구성해 변환손실을 줄인 시스템
- MIT와 IBM은 10년간 2억 4천만 달러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MIT-IBM Watson AI Lab을 설립하여 100명 이상의 AI 연구자, 교수, 학생이 참여
- 도요타 자동차는 스탠포드 대학 인공지능연구소 및 MIT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연구소와 AI관련 5,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각각 센터와 협력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결정
○ 미국 명문대의 산학협력 유형은 ①프로젝트 구축, ②연구담당 부학장 등에 의한 산학협력활동 전체 관리, ③산학협력 지원 교직원 육성 및 평가, ④산학협력 자금 관리, ⑤산학 성공사례 공유 등으로 구분
< 미국 유명대학 산학협력 유형 >
1) 수요 기반 프로젝트 구축 강화
- 대형 공동연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기업측에 대형 공동연구 주제를 제안하여 프로젝트화 하는 기능이 중요
※ 스탠포드 대학 내 55개 산학연계 프로그램(IAP: Industrial Affiliate Program)이 존재하고, 기업 회원에게 책임 연구자와의 교류 기회를 제공
※ MIT의 기업 기부 및 단일 스폰서에 의한 연구비의 40%를 기업회원이 차지
2) 연구담당 부학장 등에 의한 산학협력 활동 관리
- 산학협력 관련 학내 조직이 많으므로, 연구담당 부학장에게 충분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여 전체 매니지먼트를 담당하도록 함
※ 뉴멕시코 대학의 경우, 연구담당 부학장실에 간접경비 배분 책임을 부여하고, TLO인 STC.UNM에도 간접경비가 배분
3) 산학협력을 담당하는 교수 및 직원 육성, 평가
- 교수의 산학협력 활동에 인센티브 제공(승진 등) 및 담당 수업 부담 경감
※ 샌디에이고 대학에서는 연구자 장기 인사평가시 지식재산 보유수 및 기업과의 연계 실적 등이 고려
※ 미국 NTU 대학의 바이아웃과 같이 연구 외 부하를 경감시키는 시스템 추진
4) 산학협력 자금 관리
- 관리회계를 통해 공동연구 관련 수입 및 지출을 투명화하고, 학교 차원에서 전략적 자금 배분 투자
※ 미국의 유명 대학에서는 독립채산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내 자금 배분도 일정 부분 규정화 되어 있음
※ 미국 대학의 간접경비 비율은 50% 이상으로 지원되고 있음
5) 산학협력 성공사례 공유
- 미국의 UIDP(대학·기업 데모 파트너쉽)과 같이 산학이 조직으로서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 효과적
※ 일본 대학기술이전협의회(UNITT), 산학연계학회, 연구이노베이션학회, 리서치행정원협회 등 정보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