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제7차 에너지 연구프로그램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연방교육에너지부(BMW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9-19
- 등록일 2018-10-30
- 권호 129
□ 독일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제7차 에너지 연구프로그램을 발표(’18.9.)
○ 최근 독일의 에너지 혁신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에너지 분야의 연구기금 및 혁신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제7차 에너지 연구프로그램을 수립
- ’50년까지 ’08년 대비 1차 에너지 소비를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고,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재생에너지 비중을 60%로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
- 에너지 프로그램은 연방경제에너지부(BMWi)이 주도하고 있으며, 연방식품국토부(BMEL), 연방교육연구부(BMBF)가 협력하는 체제임
< 제7차 에너지 연구프로그램 예산 (단위: 천 유로) >
관계 부처 | 예산 | 정부안 | 계획 |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연방경제에너지부(BMWi) | 639,700 | 725,205 | 725,798 | 723,800 | 723,745 |
과제 지원 | 595,596 | 682,980 | 682,980 | 682,980 | 682,980 |
제도적 지원(DLR) | 44,104 | 42,225 | 42,798 | 40,820 | 40,765 |
연방식품국토부(BMEL) | | | | | |
과제 지원 | 46,803 | 46,803 | 46,803 | 46,803 | 46,803 |
연방교육연구부(BMBF) | 506,613 | 515,601 | 528,018 | 521,809 | 521,809 |
과제 지원 | 133,427 | 133,261 | 133,355 | 133,355 | 133,355 |
제도적 지원 (헬름홀츠, 우주항공센터 제외) | 373,186 | 382,340 | 394,663 | 388,454 | 388,454 |
총 계 | 1,193,116 | 1,287,609 | 1,300,599 | 1,292,412 | 1,292,357 |
* 제도적 지원은 자금지원 제도의 보완적 조치로 국가 및 사회 장기적 연구를 목표로 대규모 장비를 사용해야하는 경우나 복잡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추진
○ 향후 미래 에너지 정책으로 4대 기본 방침을 제시
1) 기술혁신 이전 촉진
- ‘실시간 에너지전환 실험실’을 신규 도입하여 혁신 기술의 시장 이전을 전주기에 걸쳐 지원하고, 창의적·역동적 신진 창업기업의 적극적 참여 유도
- 에너지 연구 플랫폼 및 연구지원 정보시스템을 통해 연구 투명성 제고
< 독일 에너지 연구비 지원 추세(원자력 제외, 백만 유로) >
2) 체계적 에너지 시스템 지원을 기반으로 연구프로그램 스펙트럼 확대
- (에너지 효율성) 빌딩 내 신재생에너지 통합 강화, 저탄소 산업공정
- (운송) 새로운 이동 개념이 에너지 부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에너지 생성) 신재생에너지 및 화력 발전소 전 분야
- (시스템 통합*) 전력 그리드, 전력저장, 섹터 커플링
- (시스템 홍보) 에너지 시스템 분석, 자원효율성, CO2 기술 및 재료연구 등
- (원자력 안전) ’22년 원전 폐쇄 기술 지원, 방사성 폐기물 처분, 방사선 방호 등
< *시스템 통합분야 에너지 저장기술 >
3) 에너지 연구 제도적 지원
- 프로젝트 자금지원 외 헬름홀츠 연구협회*를 통해 프로그램을 공동 지원하여 제도 보완
* 18개 대형 연구소의 통합연구기관으로 인적·물적 비용이 높고 복잡한 문제 해결 연구 수행
- 대학 및 연구소 등의 에너지 연구 네트워크 강화 및 연구성과 공유 촉진
4) 국제화 및 네트워크 강화
- EU의 전략적 에너지 기술 플랜(SET-Plan)에 참가하여 재생가능에너지,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에너지 효율성 및 지속가능한 운송 관련 프로젝트 수행
- IEA 기술협력 프로그램 참여 및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국제교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