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푸젠성 혁신주도형 발전 강화 7조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10-15
  • 등록일 2018-11-13
  • 권호 130

 

□ 푸젠성(福建) 과기청은 「혁신주도형 발전 강화 7조 조치」를 발표(’18.10.)

 

○ ’17년 국무원은 혁신형 국가 건설의 행동지침인 「국가 혁신주도형 발전전략 요강」을 실시  

 

 - 푸젠성은 지난 5년간 첨단기술산업 종사 기업이 1,528개에서 3,054개로 증가하였으며 신시대 푸젠성 건설을 가속화하기 위한「7조 조치」를 제시  

 

○ 7조 조치는 시진핑의 새로운 시대 중국의 특색 있는 사회주의 사상과 당의 19대 정신을 실행하는 주요 조치로 관련 내용을 소개   

 

  ※ 푸젠성 과기청 주요관계자와 과기일보 기자와의 인터뷰를 정리 

 

 1) 푸젠성 기업의 R&D 투자 장려 정책 및 투자 현황은 어떠한가? 

 

 - ’13~’17년 푸젠성 R&D 경비 지출은 연평균 14.7%로 전국 연평균보다 4.4% 포인트 증가하였고, ’17년 성 전체 R&D 경비지출은 543억 99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19.5% 증가 

 

 - 연 생산액 5,000만 위안 이상, 세수가 1,000만 위안 이상, 연구개발비 지출이 매출액에서 5%이상을 차지할 경우, 증가분에 따라 10%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상한액 500만 위안 설정  

 

 2) 기업은 어떻게 연구개발에 경비 보조금 투입을 신고하며, 연구개발 투자 보조금을 신청하는 기업에 대한 조건은 무엇인가? 

 

 - 기업은 ‘푸젠성 과학기술혁신 플랫폼 및 기관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신청서를 작성하고 관련 증빙서류 포함 

 

 - 성 과기청, 재정청이 정부구매서비스를 통해 자질이 있는 회계사 사무소를 일괄적으로 확정하는 등 제 3의 기관이 평가한 결과를 근거로 시-현-과학기술부와 재정부가 보조금 지급 

 

 - 기업은 반드시 연구개발 경비의 보조 장부나 특별계정을 마련하고, 재무 관리 요구에 따라, 본 기업의 내부 연구개발 경비를 정확하게 실사 

 

 3) ’19년~’21년 중소기업 융자난 해결을 위해 성 재정을 통해 매년 2억 위안씩 출자하여 보상기금을 설립할 예정인데, 이 자금의 용도는?  

 

 - 7개 조치에 따라《복건성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을 조직하여, 현재 정부 심사를 신청 중  

 

 - ’12년 이후, 푸젠성은 이미 8개의 과학기술금융 관련 정책 문건을 내놓았는데, 8개 지역에 설치한 6개 은행이 과학기술형 중소기업 신용대출 전담기관으로 2018년 6월까지 지원


 - 조성 계획 중인 2개 창투펀드는 현재 8개 기업, 총 투자금액 1억 9300만 위안, 실제 투자액은 1억 7,800만 위안으로 과학기술보험 보조금 2,100만 위안(누적치) 지급 

 

 4) 7조 조치 중 수준 높은 실험실 구축은 이전의 각 성 과학기술 혁신 플랫폼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 ’16년 10월 푸젠성 성장 주재 성 정부 특집회의를 열어, 국가실험실과 국가 중대 과학기술혁신 플랫폼 구축사업을 전개하였으며, 국가 중대 과학기술혁신 플랫폼 개발 착수 

 

 - ’16년 말부터 에너지소재 국가실험실 착지의 복건화를 목표로 그래핀 연구원을 우선 지원하며, 첫 계획 부지 1000무, 연면적 2000무, 계획 추진비 9억 6,400만 위안을 달성 

 

 5) 푸젠성의 AI 발전 현황은 어떠한가? 

 

 - 인공지능의 차세대 인공지능을 발전시킬 수 있는 실시에 관한 의견과 인터넷플러스 빅데이터-물결 네트워크를 육성하는 등 기술 공급과 시범응용 분야에서 선도기업 연합대학 지원 

 

 - ‘성정부의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을 위한 실시의견'을 관철하고, 성 전체 데이터 자원 분산, 정보 ‘고도'와 핵심 기술 공급 부족 등을 중점적으로 제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