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8년 바이오의약산업단지 발전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기일보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0-29
- 등록일 2018-11-23
- 권호 131
□ 중국 바이오기술발전센터*는 10월에 개최된 중국 바이오과학단지 포럼에서 ’18년 중국 바이오의약산업단지 발전현황을 분석(’18.10.)
* 과기부 직속 사업기관으로, 중국 바이오기술 분야 연구 및 성과이전·산업화를 추진
○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바이오의약산업이 핵심적 역할을 함에 따라, 수많은 의약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있음
- 바이오의약산업은 고기술, 고투자, 고위험, 고부가가치, 다학과가 교차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집약적 발전을 실현
○ 중국의 바이오기술발전센터는 국가급 첨단기술개발구(이하 고신구) 및 경제기술개발구를 대상으로 21개 지표에 따라 종합평가지수를 산출
- 산업경쟁력, 환경경쟁력, 인재경쟁력, 기술경쟁력, 선두경쟁력으로 구분
○ 바이오의약산업단지 생산 총액은 1조 4,600억 위안으로 ’15년보다 3,400억 위안이 증가하여 중국 바이오의약산업 규모의 38.42%를 차지
- 전체 연구단지 산업 총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년 16.9%에서 ’17년 18.8%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국가급 첨단 바이오의약단지는 국가급 신산업으로 발전
< 바이오의약산업단지 산업규모 >
연 도 | 2015년 | 2017년 |
바이오의약산업 총 생산액 (조 위안) | 1.12 | 1.46 |
중국 연구단지 총 생산액 중 차지하는 비중 (%) | 16.9 | 18.8 |
○ 국가급 고신구와 경제기술개발구는 중국 바이오의약산업의 핵심으로 부상
- ’17년 기준 국가급 고신구와 경제기술개발구의 바이오의약산업 생산액은 1조 2,100억 위안과 2,300억 위안으로, 중국 연구단지산업 총 생산액에서 22.48%와 9.63%를 차지
< ’17년 바이오의약산업단지 생산액 >
연 도 | 고신구 | 경제기술개발구 |
바이오의약산업 총 생산액 (조 위안) | 1.21 | 0.23 |
중국 연구단지 총 생산액 중 차지하는 비중 (%) | 22.48 | 9.63 |
○ 국가 바이오의약산업단지 종합 경쟁력 순위에서 중관촌 국가자주혁신시범구, 상하이 장강고신구, 우한 동후고신구, 쑤저우산업단지 등이 상위를 차지
< ’17년 중국 종합경쟁력 20대 국가바이오의약산업단지 >
순위 | 단지 | 순위 | 단지 |
1 |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 | 11 | 롄윈강고신구 |
2 | 상하이 장장고신구 | 12 | 타이저우의약고신구 |
3 | 우한 둥후고신구 | 13 | 선전시고신구 |
4 | 쑤저우산업단지 | 14 | 톈진경제기술개발구 |
5 | 지난고신구 | 15 | 난징고신구 |
6 | 청두고신구 | 16 | 항저우경제기술개발구 |
7 | 스쟈좡고신구 | 17 | 정저우고신구 |
8 | 톈진빈하이고신구 | 18 | 난퉁고신구 |
9 | 광저우고신구 | 19 | 웨이하이훠쥐(火炬)고신구 |
10 | 창사고신구 | 20 | 즈보고신구 |
- 중관촌 국가자주창신시범구 : 중관촌 국가자주시범구는 해정원(海淀园), 창평원(昌平园), 역장원(亦庄园), 대흥(大兴)생물의약기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이오 및 헬스 산업 클러스터는 중관촌의 6대 중점전략 신흥 산업 클러스터의 하나임
* ’17년 1~11월 중관촌 시범구의 공업 총 생산액 중 바이오 엔지니어링과 신의약품 분야 소득은 전년대비 10.1% 증가
- 상하이 장강의약밸리 : 상해 국가바이오산업단지의 핵심구로 중국 바이오의약 분야의 연구개발기구 중 가장 집중적이고 창의력이 강하며 신약 제조성과가 가장 뛰어난 연구기지로 항체의약, 유전자공학의약, 분자화학의약 등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보유
* 국가 신약개발기구의 30%는 장강에서 생산되며, 매년 신약 개발 총 예산의 30%를 투입
- 우한 광곡밸리바이오성 : 현재 바이오혁신원, 바이오농업원, 의료기기원, 의료건강원, 스마트 헬스 등의 단지가 조성, 유전자 공학의약,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검사, 디지털의학 등 분야가 우수
- 쑤저우 바이오베이(BioBAY) : 이미 400여개의 첨단 연구개발기업이 모여 생물의약품, 의료기기, 생물기술 등의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며, 만 명에 가까운 고급 연구개발인력을 유치
* 쑤저우 바이오나노과학기술원은 ’07년 정식으로 설립되었으며, ’17년 5월 쑤저우 바이오의약산업단지로 정식 명칭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