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7년 기업 기술혁신활동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10-24
  • 등록일 2018-11-23
  • 권호 131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는 ’17년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을 조사*(’18.10.)


  * UK INNOVATION SURVEY 2017


  ※ EU 지역혁신조사(CIS)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영국 혁신조사로 ’14’163개년을 대상으로 종업원 10인 이상 기업 13,194개 기업 설문조사 및 2,808개 기업 패널 데이터 분석


기업의 혁신활동 수준은 기업 규모와 부문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평균적으로 ’1553%에서 ’1749%로 감소


 - 혁신 주도의 대기업이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의 혁신 활동이 감소


 - 전기 및 광학장비·운송장비 제조 분야에서 기업의 2/3이상이 혁신 활동이 증가하였으나, 전기·가스·수도, 수송장비 제조, 목재, 출판, 인쇄 및 부동산 부문에서는 혁신 활동이 감소


 - 반면, 내부 R&D에 대한 확고한 투자는 ’1435%에서 ’1646%로 증가

 

  ※ 영국 기업의 혁신활동율은 3952%로 나타남


혁신을 주도하는 요인으로 제품·서비스 품질 개선 및 교체, 부가가치 증가 등으로 나타남


 - 규제 기준을 충족하고 제품 및 서비스 품질 개선에 중점을 둔 비즈니스 전략 채택


 - 완전히 새로운 제품이거나 새로운 잠재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비해 계속 변화하는 마케팅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 감소


 - 창업자의 대학원 이상의 교육 수준은 혁신활동과 성과를 증가


장애요인으로는 자금 조달, 높은 혁신 비용, 인지된 경제 위기가 보편적으로 높았으며, 이와 같은 장벽에 대한 기업의 경험은 ’1120%에서 ’1715%로 약화된 것으로 조사


 - 그 외 정부와 EU의 규제, 전문인력 부족, 시장정보 결핍 등을 장애요인으로 답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