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EU, EUREKA2020 전략 로드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4-09-10
- 등록일 2014-10-06
- 권호 32
□ 유럽의 시장지향적 산업기술개발 공동체인 ‘EUREKA’는 2020년까지의 전략로드맵을 발표(2014.9.10)
○ EUREKA2020의 핵심 전략은 상용화단계 기술의 연구개발혁신(R&D&I) 국제협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
○ 전략 목표
-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지원하며 EU 공공자금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
- 유럽과 전 세계가 산업적 R&D&I 협력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
- EUREKA와 관련기구의 협력을 극대화 하여 유럽연구지역(European Research Area, ERA)의 혁신에 기여
○ EUREKA2020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과제
- EUREKA 프로젝트 2.0 : 개별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투자기관이 직접 공동연구 과제를 주관하고 평가
- EUREKA 클러스터 & 우산 : 더욱 강력하고 가시적인 EUREKA 클러스터 형성 및 우산 역할 강화를 위해 회원국의 펀딩 비전및 정보를 제공
- Eurostars 2 : 펀딩 기구와 중소기업 간 빠른 계약체결을 위한 린(lean) 관리 방식을 통한 재원조달 및 보고시스템 구축,중소기업 지원을 통한 ERA와 Horizon 2020과의 시너지 극대화
- 스마트 국제화 : 전 세계 비회원국과의 프로젝트 단위 협력을 강화
- 린(lean) 거버넌스 : 회계 및 감사 위원회를 구성하여 투명하고 효율적 관리 시스템 구축
-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 수요자의 니즈분석을 통한 EUREKA 네트워크 홍보
- 포괄적인 영향력 평가 : 최신 평가프로그램을 수립하고 EUREKA 프로젝트 영향력 평가 플랫폼을 개발
□ 시사점
○ EUREKA는 제3국의 참여를 확대하여, 개방․자율적인 R&D정책을 추진
○ 과제참여 가능국이 ‘1개 회원국 + 1개 준회원국’ 이상으로 변경됨에 따라 준회원국인 한국의 역할 확대를 기대
○ 우리나라의 대미, 대일 위주의 국제협력활동은 활발한 데 반해, 현재까지 EU와의 협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
- 한국은 18개 유레카 과제에 참여 중이나 현재까지 과제리더는 없는 상태
- 따라서, 주도적인 한-EU 공동연구를 위해 EU 회원국의 관심사가 반영된 공동 R&D 활성화 정책이 필요
※ EUREKA 프로그램
◇ 개요
- 1985년 유럽 18개국이 ’중소기업 중심’의 시장지향적(Market-oriented) 산업기술개발 공동체 조성을 목표로 설립
- 현재 41개 유럽 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며 대한민국과 캐나다가 협력국(associate)으로 참여 중
◇ 운영방식- Market-Oriented : 과제 종료 후 2년 내 시장출시가 가능한 과제 지원
- Bottom-Up : 참여기업(2개 조직 이상)이 과제의 주제, 크기, 기간을 결정
- EU차원에서 직접 지원하지 않고 개별국에서 예산지원(유로스타는 일부 직접지원)
◇ 프로젝트 유형
- Eurostars-2 : 기업 간 R&D 협력뿐 아니라 시장개척도 함께 하는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Umbrella : 특정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회원국 기업이 하나의 주제로 묶어, 유럽 네크워크를 형성하도록 하는 네트워크지원사업
- Cluster : 유럽 선두기업주도의 전략적 핵심기술개발 지원사업
- Individual : 클러스터나 엄브렐러 프로그램보다 작은 규모로, 공통 관심사를 가진 2개 이상 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사업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