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선전市, 세계 최초로 버스‧택시 전기자동차로 전환 예고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코트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7-31
  • 등록일 2018-11-23
  • 권호 131

정부 보조금 기반으로 성장한 선전시 전기자동차 시장, 올해 말까지 모든 버스·택시 전환


중국 제조 2025’에 따라 ’25년까지 매년 300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중국 정부는 ’09년부터 전기자동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급


 - ’14년에는 전기자동차 한 대당 보조금을 10만 위안으로 늘렸으며, 이때부터 중국의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급격히 증가


 - ’17년 중국의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77만 대로, 전 세계에서 판매된 전기자동차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판매


특히 첨단 제조업과 ICT산업이 발달해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시는 친환경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중앙 정부의 보조금에 더해 시 자체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


 - 그 결과 선전시의 버스·택시 운영업체에 전기버스 한 대당 50만 위안, 전기택시 한 대당 136,000위안의 보조금을 지급


선전시는 ’17년 말까지 시내 16,000여 대의 버스를 전기자동차로 교체한 데 이어 ’18년 말까지 13,000여 대의 택시도 모두 전기자동차로 바꿀 방침(SCMP)


 - 이 사업이 완료되면 선전시는 버스와 택시가 모두 전기자동차로 운영되는 세계 최초의 도시가 될 전망


< 선전시 전기자동차 택시 충전소 >

6.PNG

자료 : 아시아경제


보조금 단축 등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 환경 변화, 성장에 미칠 영향에 주목 중


중국 정부의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 추진과 동시에 지원금의 단계적 폐지, 글로벌 브랜드의 중국 시장 공략 본격화 등으로 경쟁은 점차 심화될 것으로 예상


(보조금 단축) 하반기의 보조금정책은 주행거리가 긴 전기자동차에 유리하도록 채택


 - 실제로 중국 공업신식화부에서 ’18.2월부터 전기자동차 보조금을 일시적으로 30% 일괄 감축한 이후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성장이 늦춰지기 시작

 

  * 순수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취합


 - 이어 ’18.6월부터 전기자동차 국가보조금의 최대 주행거리별 지급 기준을 세 가지에서 여섯 가지로 세분화


 - 이에 따르면 최대 주행거리 150미만 전기자동차는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반면 400이상 주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는 기존 보조금보다 높5만 위안을 지급


< ’18년 상반기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기자동차 보조금 계획 > 

7.PNG


자료 :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코트라 / 조선일보


(글로벌 브랜드 진출 지속) 대규모 시장을 겨냥해 중국 시장 진출 가속화


 - (폭스바겐) 전기자동차 플랫폼 ‘MEB’과 배터리 생산을 위해 중국 상하이 인근에 공장 설립(10.24). ’20년부터 가동, 우선적으로 전기 SUV를 만들 계획


 - 하이자동차(SAIC)와 공동으로 건설하며 규모 61, 연간 생산능력은 3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


 - 27가지의 친환경 기술과 인더스트리 4.0 전략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 1,400대를 도입할 계획


 - (테슬라) 상하이에 공장부지 86를 낙찰(10.17)받아 배터리 공장인 기가팩토리와 모터 등 주요 부품과 전기자동차 조립까지 담당하는 거점으로 사용할 예정


 - 연간 50만 대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으로 보급형 세단 모델 3, 향후 출시할 새 크로스오버 모델 Y를 생산할 예정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