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디지털 경제발전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하버드비지니스리뷰
  • 주제분류 경제혁신
  • 원문발표일 2018-11-06
  • 등록일 2018-12-11
  • 권호 132

□ 미국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는 중국과 인도의 디지털 경제발전 현황과 인도의 추격 가능성을 분석(’18.11.)


* Competing in the Huge Digital Economies of China and India


○ 중국과 인도는 디지털 경제 규모와 성장 가능성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을 압도하고 있음


 * 중국과 인도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각각 8억 명과 5억 명을 돌파하였으며, 전체 국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 25%로 향후 성장할 여지가 충분


 (1) 디지털 산업의 빠른 성장세


- 중국은 ’17년 1월 현재 7억 8,300만 명의 스마트폰 사용자와 4억 6,900만 명의 모바일 결제 이용자를 가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시장


- 인도의 디지털 경제는 현재 4,130억 달러(약 468조원) 규모로 ’25년까지 1조 달러(약 1,13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 디지털 진화 지수 유형 >

구분

성장 속도

빠름

정체

현재 디지털 수준

높음

선도국(stand outs):

싱가포르, 영국, 일본 등

정체국(stall outs):

노르웨이, 미국, 한국 등

낮음

추격국(break outs):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주의국(watch outs):

태국, 이집트, 스페인 등


 (2) 보호주의 정책


- 중국은 보호주의 정책을 통해 해외 기업의 진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인도는 다양한 언어 및 정부의 암묵적 보호주의 정책으로 진입 장벽이 높음


- 인도의 보호주의 정책은 규제와 관료적 형식주의 형태로 전자상거래 소비자 데이터를 해외로 반출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 해외 기업의 활동을 견제


 ※ 인도는 1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만 32개가 넘으며, 인도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은 최소 5개의 인도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3) 정부의 시장 관여


- 중국은 ’25년까지 인공지능 기술의 선두주자 달성을 계획하고, 국민에 대한 종합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인도는 디지털 인도 이니셔티브를 통해 브로드밴드 서비스 확대 및 100개 스마트시티 건설계획을 발표


○ 60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디지털진화지수(DEI)에 따르면 중국 36위, 인도 53위로 나타나, 양국 간에는 큰 격차가 존재


- 관련 지표는 시장수요, 공급, 법제 환경, 혁신과 변화 등 4가지 기준으로 분석


< 2017 디지털진화지수 순위 >

순위

국가명

디지털진화 지수

순위

국가명

디지털진화 지수

1

노르웨이

3.79

7

한국

3.68

2

스웨덴

3.79

8

영국

3.67

3

스위스

3.74

9

홍콩

3.66

4

덴마크

3.72

10

미국

3.61

5

핀란드

3.72

36

중국

2.49

6

싱가포르

3.69

53

인도

1.85


- 중국은 인도보다 40% 높은 GDP를 기록하는 등 다른 경제지표에서도 인도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음


- 반면 인도의 중산층 규모는 2030년에 중국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18년 1분기 인도가 기록한 7.7%의 경제성장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임


- 특히 인도가 인구통계적 강점과 민주적 정치체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을 추격할 가능성을 보여줌


□ 디지털 진화지수 모델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3개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때 인도가 중국을 추격할 수 있을 전망


○ 인도가 중국의 성장 모멘텀과 같은 수치를 기록할 경우 ’29년에 중국과 같은 수준 달성이 가능


○ 물리적 기반시설, 정부 ICT 부문 촉진, 디지털 접근성, 디지털 결제 활용, 정부 R&D 투자, 여성의 디지털 포용, 기업의 디지털 활용, 모바일 인터넷 격차 3% 성장률을 달성할 경우 ’22년에 중국을 추격


○ 여성 디지털 포용 부문에서 연 18%, 물리적 기반시설에서 3%, 정부 R&D투자에서 3%, 디지털 접근성에서 1%의 성장률을 달성할 경우 ’24년에 중국과 같은 수준에 오를 것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