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베이징시 금융기술 개발계획(2018~2022)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관촌과기단지관리위원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1-09
  • 등록일 2018-12-11
  • 권호 132

□ 최근 중관촌 과기단지관리위원회* 등은 「베이징시 금융과학기술촉진계획(’18~’22년)」을 발표(’18.11.)


* 중관촌 과기단지위원회, 베이징시금융국,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가 공동으로 참여


○ 베이징시는 중국과기혁신센터와 국가금융감독기관의 소재지로서 금융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조건 및 수요가 충분하여 국내 금융과학기술 혁신지역으로 부상


- 금융과학기술은 신기술이 가져온 금융혁신으로 금융기관과 과학기술기술의 융합이 중요하나, 베이징시는 상대적으로 과학기술 성과의 전환 및 금융기관과의 연계 지원정책이 미흡


○ 본 계획은 베이징시를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금융과학기술혁신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수도권 특색의 국내시범, 국제표준’의 금융과기혁신시범체계를 목표로 설정


- ’22년까지 5~10개의 국제 금융기술 선두기업을 배출하고 3~5개의 혁신클러스터 구축


- 10~15개의 중대 시범 응용프로젝트 전개를 통한 혁신적 산업 생태계 조성


○ 중점 임무로는 금융과학기술 응용촉진, 금융과학기술 혁신생태계구축 등 핵심 과제 제시  


 1) 금융과학기술 저변 혁신·응용을 위한 최첨단 기술 연구개발 지원


- 신원식별, 투자고문, 고객서비스, 위험관리, 보조감독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 적용 확대


- 업무와 고객관리, 신용과 위험관리, 증권투자, 보험료 책정, 자본과 재무관리, 별도의 데이터관리 분야에 빅데이터 기술 적용 


- 모바일 인터넷과 사물인터넷 기술 등 상호 연결기술 혁신을 촉진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와 금융 기능의 전면적 융합 촉진


- 클라우드 컴퓨팅 및 블록체인 등 분산원장기술(DLT) 기술을 적극 추진하여 제품과 혁신을 가속화 


- 암호기술, 양자기술, 바이오 인식기술 등 보안기술 개발을 강화하여 금융혁신, 생활서비스, 도시관리 분야 응용


 2) 금융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학제간 금융과학기술 연구기지 구축 및 금융과학기술원 학과 설립으로 금융과학기술 인재 양성


- 기술혁신형 기반기술 기업 유치 및 잠재력 있는 스타트업 기업 지원


- 대학, 연구소, 기업 주도로 베이징시 소재의 중점실험실,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등 다양한 유형의 기술이전 및 성과 전환 모델 구축


- 금융과학기술혁신연구원 설립 지원 및 금융과학기술협회와 연맹 등 관련 조직 구성 지원


- 지불결제, 등록 위임관리, 신용등급 조회, 자산거래, 데이터관리 등 금융기술 핵심 인프라 시설 구축


○ ‘베이징시 마스터플랜(’16~’35)’에 따라 ’1구(시범구) 1핵(핵심구), 클러스터구역‘ 발전 공간을 배치하고, 금융과학기술기업을 특정지역에 집중 지원


- (1구 1핵) 금융기술기반 혁신클러스터인 시청구(西城区)와 해정구(海淀区)를 지정


- (클러스터) 특색 있는 금융과학기술 창조 및 산업클러스 금융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기반기술 혁신클러스터 해정구(海淀区), 은행보험 과학기술 산업클러스터 석경산구(石景山区), 금융기술 보안 산업클러스터 방산구(房山区), 재무관리 산업 클러스터 통주구(通州区)를 선정


< 1 시범구 1 핵심구, 클러스터 구역 지정 >

15.PNG


 ○ 향후 베이징시는 금융과학기술 표준화 및 정보데이터 관리제도를 통해 금융과학기술혁신이 촉진될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