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해외 투자유치 성공요인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국제통상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11-04
- 등록일 2018-12-11
- 권호 132
□ 영국 국제통상부는 영국의 해외 투자유치 성공요인을 분석*(’18.11.)
* This is why investors choose to put their money in the UK
○ ’18년도 상반기 영국 내 외국인 직접투자금액은 655억 달러로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중국이 702억 달러를 유치하여 1위를 차지하였으며, 미국은 465억 달러를 유치하여 3위에 기록
- ’16년 이후 영국 기술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 금액은 총 50억 파운드를 초과하였고, 지난해에만 외국인 직접투자로 영국 내 76,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 ’18년 11월 영국 경제통상부는 핀테크, 정보기술, 첨단공학 분야 등에서 11개의 투자 유치(약 109백만 파운드) 계약 체결을 추가로 발표하며, 런던, 뉴캐슬, 리즈 등지에 359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 신규 투자유치 현황 >
○ 영국은 기업의 사무소 설치 등 중요 전략투자에 있어 유럽 내 1순위로 고려되는 등 투자유치 및 기업 운영에 있어 최적의 요건을 갖추고 있음
1) 투자 환경
- 영국은 G20 국가 중 가장 낮은 법인세율 국가이며, 기업을 운영하기에 적합한 규제 체제를 구축
-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모든 기업에게 전 세계 국가와의 무역거래 구축을 적극 지원
- 정부사이트(invest.great.gov.uk)를 통해 해외투자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 제공
- HPO* 제도를 통해 투자 저조 분야의 해외 투자유치 확대를 유도
* 성장이 필요하나 지금까지 투자가 저조했던 분야의 경제적 잠재성 및 투자 기회를 투자자에게 안내하는 제도
2)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풀
- 혁신 문화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과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
3) 정부 연구개발투자 확대
- 영국 정부는 차년도 예산(안)에서 과학혁신 분야에서 영국의 세계 선도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16억 파운드(약 2조 원)의 투자 계획을 발표
※ ’16년 이후 연구개발에 총 70억 파운드 투자
4) 정부 산업전략(Industrial Strategy)
- 영국 정부는 개별 산업 부문별 투자유치 계획을 포함한 산업전략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미 다양한 성과를 창출 중
5) 브렉시트에 대비한 외국인 투자유치 노력
- 영국은 독자적 무역 정책을 수립 중에 있으며, 생명과학, 자동차, 농업기술 분야에서 세계 투자자를 대상으로 다수의 투자회의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