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농업과 첨단 ICT를 접목한 '스마트팜', 세계 각국에서 확산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연합뉴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1-19
- 등록일 2018-12-11
- 권호 132
◉ 스마트팜(Smart Farm)
- 비닐하우스·축사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smartfarmkorea.net)
-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습도·이산화탄소·토양 등을 사물인터넷(IoT)기술로 측정해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
□ 미래 식량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스마트팜’, 글로벌 경쟁 본격화
○ 세계 인구는 증가하는 반면 기후변화와 산업화 등의 영향으로 곡물 생산 경작지는 줄어들고 있어 식량부족이 현실화
- UN의 ‘2017년 세계인구전망보고서’에 따르면 ’17년 전 세계 인구는 약 76억 명이며 ’50년에는 약 98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 농업강국 네덜란드‧덴마크를 비롯해 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첨단 ICT를 활용해 경작지 감소‧식량부족 등 미래 다가올 농업 분야 위기에 준비를 강화
○ (네덜란드) 원예나 화훼 농작을 위한 최적의 기후 여건은 아니지만 유리 온실 등 복합환경제어 시스템으로 관리해 농산물 최다 수출국으로 자리매김
- 누적된 농업 데이터와 재배환경에 최적화된 노화우를 스마트팜 센서와 제어솔루션 개발에 활용해 농업생산량 향상과 품질 최적화를 도모
○ (미국) 넓은 토지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농경작의 경험 등을 공유하며 스마트농업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
- 클라이미트 코퍼레이션(Climate Corporation)*을 통해 250만 개 지역의 주요 기후정보 데이터, 과거 60년 간의 수확량 데이터, 1,500만 개 지역의 토양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팜 솔루션을 제공
* ‘클라이미트 코퍼레이션’은 세계적인 농업기업 몬산토가 인수한 날씨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업체
○ (일본) 후지쯔, NEC, NTT 등 다수의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며 서비스 개발 활기
- NEC의 M2M 기반 생육환경 감시 및 물류 서비스, 후지쓰의 농업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등이 대표적
○ (이스라엘) 세계 최고의 온실관리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맞춤형 설비와 컨설팅 등의 스마트팜 기술을 수출
- 온실의 점적·미량관개시스템* 공급업체 네타핌(NETAFIM)은 110개국에 재배 솔루션 ‘유매니지(uManage)’ 플랫폼과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농업을 운영하는 통합적인 솔루션 제공
* ‘점적·미량관개시스템’은 송수관을 따라 설치된 물 배출구를 통하여 물방울, 연무 등의 방법으로 소량의 물을 자주 공급하는 관개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