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수급 일체형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1-21
- 등록일 2018-12-24
- 권호 133
□ 경제산업성 에너지 절약・신에너지 분과회의는 재생에너지 자립을 위한 수급일체형 활용방안 논의(’18.11.)
○ 전력 시스템 및 재생에너지의 대량 도입을 통해 전력 공급의 주체 및 수요자가 다양화되어 새로운 분산형 전력 시스템으로 변화 발생
- 주택용 태양광 발전비용이 전력 소매요금 수준(24엔/kWh)으로 낮아져 FIT(발전차액지원제도)*에서 탈피하여 수요와 공급이 일체화된 모델로 확대될 전망
* 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해 공급한 전기의 전력거래가격이 부처가 고시한 기준가격보다 낮은 경우 그 차액을 지원하는 제도
-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 추구 및 지역경제 산업 활성화, 재해 발생시 지역 에너지 공급 등 재생에너지 활용 모델 구축이 필요
< 전력시스템 변화와 재생에너지 새로운 활용 모델 >
○ 본 분과회의에서는 가정, 대량 수요자, 지역으로 구분하여 수급일체형 재생에너지 활용모델을 분석
1) 가정
○ 주택용 태양광 에너지 저장기술을 조합한 효율적 자가소비 추진
- 잉여 전력을 축전지 및 EV, PHV로 저장하거나 히트펌프 온수기로 열을 저장하여 이를 활용
○ 자가발전소(VPP) 애그리게이터*(Aggregator)가 축전지를 활용하여 가정의 잉여전력 효율적 활용
* 소비자, 프로슈머, 생산자 등을 모아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는 중개사업자나 중개 플랫폼을 의미
○ 주택용 태양광 자동 가동기능 활용 및 에너팜(ENE-FARM, 가정용 연료전지) 등 다른 전원 등을 조합한 재해 대책
-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의 대부분은 정전시 자동 가동을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기를 이용
2) 대량 수요자
○ ESG 투자 확대 및 RE100(Renewable Energy 100)등 재생에너지 지향 기업의 증가로 일본 기업 등 대량 수요자에 의한 재생에너지 전기 수요가 증가
- 관련 사례로 훗카이도 지진에 의한 대규모 정전 발생시 ZEB(제로 에너지 빌딩)에서 전원 확보 등을 들 수 있음
3) 지역
○ 지역 단위에서도 재생에너지 수급 일체형 모델 구축을 목표로 지역 부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산지소 및 신산업 창출 등 지역 활성화 방안 검토
- 지역과 공생하면서 자립화를 목표로 하는 바이오매스 발전 등은 FIT로부터 자립이 과제이며, 에너지 공급 구조에 참여하는 사업자가 주체가 되어 지역의 재생에너지와 열공급, 열병합발전 등 에너지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축
- 독일에서는 공영기업이 지역 내 재생에너지를 포함 에너지 공급 모델이 되고 있어, 일본 내에서도 관련 정책이 필요
< 지역 재생에너지 자립 모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