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대・중소기업 융통발전 촉진 3년 실행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공업정보화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11-28
- 등록일 2018-12-24
- 권호 133
□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 재정부, 국무원 국유자산감독위는 ‘대・중소기업 융통발전촉진 3년 실행계획’을 발표(’18.11.)
○ 당중앙, 국무원이 대・중소기업의 융통발전을 위해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협력의 공급사슬뿐 아니라 혁신사슬, 데이터사슬, 가치 사슬 등을 처음으로 제시
- 혁신적 협력, 생산능력 공유, 공급 사슬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전문화 능력 향상 및 경제 발전 실현
- 향후 3년간 융통발전 모델 보급, 50개 이상 경제 개발구를 중소기업 융통발전 특화된 중개기관으로 구축, 600개의 전문기업을 육성
○ 계획의 핵심과제로 융통 발전방향 선도, 기업 융통발전 역량 제고, 플랫폼과 중개기관 구축 및 융통환경 개선을 선정
1) 4개 유형을 통한 융통발전 선도
- 공급사슬 협동의 수직 융통발전, 지역생태를 이용한 블록 융통발전, 혁신능력 공유 기반 융통발전, 데이터주도형 디지털화 전환 융통발전 등 4대 유형 보급
2) 기업의 융통발전 역량 제고
- 대기업이 생산능력 및 창의력 공유, 중소기업의 자금인력 지원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대기업이 융합 발전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
3) 플랫폼 및 중개기관 구축 지원
- 3년 동안 100억 위안을 투입해 200개의 경제개발구가 4개 유형의 혁신창업 특화 중개기관을 구축
※ 올해 36개의 경제개발구가 대중소기업 융통발전 특화 중개기관 구축에 동의하였으며, 향후 동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
4) 융통환경 개선
- 융통발전 환경을 최적화하고, 기업간 협동과 발전을 위한 원가 인하 및 기업 융통발전 효율성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