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상하이 과학기술 발전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상하이과학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1-19
  • 등록일 2018-12-24
  • 권호 133

□ 상하이 과학기술위원회는 ’17년 1년간 추진한 과학기술혁신플랫폼 사업을 바탕으로 상하이 기술발전 보고서를 발표(’18.11.)


○ 중국 13차 5개년 규획을 바탕으로 상하이시는 혁신역량 강화, 신성장동력 발굴, 창업 생태계 구축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혁신 사업을 추진


 - 중대 과학기술 성과로 기술거래액 526억 위안, 하이테크산업 생산액 비중 21.1%, 하이테크 수출제품 비중 43.4%, 발명특허 수 18,545건 등이 있음


○ 상하이시는 장강 종합국가과학기술센터 구축을 위한 핵심과제로 장강실험실, 혁신연구기관 및 연구개발플랫폼 구축, 대과학행동계획, 혁신 네트워크 등을 선정


 - 장강실험실은 9월 정식 수립하였으며, 거대과학기반시설 구축 강화, 초강력초단폭 레이저장치 등 5개 대장비 건설 추진 , X선 자유전자 레이저장치 승인


  ※ 장강실험실 목표로 2020년까지 광전자, 생명과학, 정보기술 분야에서 획기적 성과를 달성하고, 2030년 세계 일류의 국가실험실 실현


 - 양자과학기술 첨단혁신센터, 국제인류표형팀혁신센터, 중・미줄기세포연구센터, 기계학습 및 가상현실플랫폼 혁신 연구기관 및 연구개발플랫폼 조성 가속화


 - 생명과학, 에너지, 재료 분야에서 거대과학 행동계획 구축


  ※ (기구축) 상하이 광원, 상하이 슈퍼컴퓨팅 센터, 국가 단백질 과학센터(구축중) 초강력초단폭레이저장치, 소프트&하드 X선 자유전자 레이저장치, 활성세포기능형성플랫폼, 상하이광원선공정, 중개의학국가중대과기기초시설  (기획중) 해저장기과학관층망 시스템, 고효율저탄소 가스터빈 시험장치


 - 장강삼각주 지역내 2만 여대의 대형 과학장비 시설을 보유한 오픈 네트워크 구축


○ 국제적 권위 있는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수는 네이처 21편(중국 내 18.4%), 네이처 29편(23.4%), 셀 17편(43.6%)을 발표


 - 특히 뇌 과학, 유전자 및 단백질, 양자, 나노, 정밀의료 등 분야에서 과학적 성과를 실현


○ 국가 인재정책에 따라 ‘17년 11월까지 총 1,046명의 외국 국적의 고급인력이 영구 거주를 신청하였고, 7,500명의 중국 국내 과학기술 혁신 인재들이 상하이 시에 영입


< 과학기술인재계획 성과 >

12.PNG


○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사업화로의 전환을 위해 기능형 플랫폼 건설 방안을 마련하고, 먼저 6개 분야의 플랫폼을 구축  


 - (기구축) 마이크로기술공업연구원, 그래핀산업기술 기능형 플랫폼, 바이오의약산업기술 기능형 플랫폼, 집적회로산업 혁신서비스 기능형 플랫폼, 스마트제조연구원, 반도체지능시스템혁신플랫폼


 - (구축중) 상하이산업기술연구원, 국가기술이전동부센터, 공업인터넷 기능형 플랫폼, 재료유전자공학연구원, 산업제어안전혁신서비스 기능형 플랫폼, 과기혁신자원데이터센터, 지능형신에너지자동차 기능형플랫폼, 북두항법혁신연구원, 임상연구 기능형 플랫폼, 로봇산업기술서비스 플랫폼, 상하이 빅데이터 시험장 


○ 상하이시는 제조업 분야의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첨단산업의 신성장동력 육성


 - ARJ21 신지선 항공기는 정식으로 대량 생산에 착수하였으며, 대형 여객기  C919는 상하이에서 첫 비행에 성공하였으며, 중국과 러시아가 합작한 CR929 장거리 여객기는 합자회사가 상해에 상장


 - 상하이 양산 심수항 4기가 정식 개항하여 생산에 착수하였으며, 자체 개발한 부두생산관리통제시스템과 설비 통제시스템에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화율을 높임


 - 차세대 정보기술 산업의 과학기술 혁신과 시범 운용을 가속화하여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집적회로 분야에서 중대한 성과 창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