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세계 첫 AI 공원, ICT 기술 총망라…미래 공원의 모습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동아일보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1-25
- 등록일 2018-12-24
- 권호 133
□ 세계 첫 인공 지능(AI) 공원, 하이뎬(海淀)공원 ’18.11월 공개
○ 인터넷 기업인 바이두(百度)와 베이징 하이뎬구가 합작한 AI 공원 ‘하이뎬 공원’은 베이징 북쪽의 기존 공원을 개조한 뒤 일반에 공개(11.1.)
※ 바이두는 ’17년 AI 특허건수 2,368건(중국 내 1위)의 AI 선두 기업이고, 하이뎬구에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라는 중관춘(中關村) 정보기술(IT)기업단지가 위치
- 기존 공원의 모습을 유지한 채 시민이 다양한 AI 시설을 체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 특징
※ 하이뎬공원은 34헥타르 규모로 ’17년 120만 명이 방문한 대형 공원
○ (자율주행 버스 운영) ’18.11.4일부터 바이두의 AI 무인 자율주행 셔틀버스가 운행을 시작
- 바이두․진룽(金龍)․인텔이 공동으로 생산한 세계 첫 레벨4(정해진 구역에서 운전자 없이 주행이 가능) 수준의 자율주행버스인 ‘아폴로(Apollo)’를 운영
- 공원 서문과 공원 내 놀이공원까지 약 1㎞ 구간을 15~20분 간격으로 왕복으로 움직이며 ‘AI 미래 공원’ 위챗(WeChat) 공공계정을 통해 무료로 체험 예약 가능
- 6~7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으며 승객은 차내 스크린을 통해 운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버스는 모든 승객이 안전벨트를 매면 자동으로 문을 닫고 출발
- 시속 약 10㎞의 속도로 운행하는 가운데 AI 프로그램에 따라 커브 구간에선 속도를 늦추고 장애물이나 사람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정지
< 하이뎬공원 내 자율주행 버스 >
※ 자료 : 카가이, 한국경제, 동아일보
○ (스마트 보행로) 보행로에 AI, 얼굴인식 장비를 설치해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 기록
- 위챗으로 등록하면 별다른 하드웨어 장비 없이 공원 내 도로에서 운동을 할 때 자동으로 운동 데이터를 인식하고 기록할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 등 대체 가능
- 출발 지점에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한 뒤 이용자의 얼굴 사진, 신장, 나이, 키 등 간단한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바로 이용이 가능
- 1회 등록한 이후부터는 공원 입구에서 얼굴을 인식해 운동 거리, 시간, 평균 속도, 소모 열량 등 데이터를 산출
※ 자주 오는 이용자의 경우 주 단위, 월 단위 누적 기록도 표시
- 860m 길이 보행로의 시작점, 중간점, 최종 지점에서 얼굴을 인식해 한 바퀴를 돌고 나면 전체 기록을 공개
< 하이뎬공원 내 스마트보행로 >
※ 자료 : 동아일보
○ 이 밖에도 AI와 일대일 대화를 통해 날씨와 뉴스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정자(亭子)’, 와이파이(WiFi) 역할 및 가로등 역할을 하는 ‘스마트 가로등’, 증강현실 모니터를 통해 태극권을 알려주는 ‘태극권 사부’ 등 다양한 시설이 곳곳에 마련
- (스마트 정자) 바이두의 대화식 인공지능 운용체계(OS)를 탑재해 바이두 AI 별칭인 ‘샤오두’라고 부르면 날씨 검색, 음악 검색 및 재생 등이 가능
- (스마트 가로등) 화웨이가 연구개발에 참여했으며 와이파이뿐 아니라 긴급 상황 시 가로등의 버튼을 눌러 관리동과 즉각 연결이 가능. 가로등 한 쪽에 LCD 화면을 탑재해 온도․습도․농도 등 정보를 제공
< 하이뎬공원 내 AI 정자, AR 체험 >
※ 자료 : 바이두, 지디넷
- `그 외 명령으로 창문이 열리고 조명이 꺼지는 스마트홈, 얼굴인식 분석 기술을 이용해 자동으로 정서 변화를 감지해내는 기술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미래 공간’도 조성
□ AI를 중심으로 ICT 기술 발전에 주력하는 중국, 구체적인 도시계획까지 마련
○ 중국 산업정보화부(MIIT)가 ’20년까지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상품을 만들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는 ‘3년 계획’을 발표(’17.12.14.)
○ 세부적으로 수도인 베이징시를 AI 산업의 세계적 허브로 만들기 위해 ‘베이징시 과학기술 혁신 가속을 위한 AI 산업 육성 가이드’ 마련
- ’20년까지 베이징시는 차세대 AI 전체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이 세계 선두 수준에 이르는 것이 목표며 ‘하이뎬공원’도 계획의 일부로 풀이
○ AI 기술이 주도하는 미래 사회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고 있는바 우리나라도 AI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