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9년도 10대 과학기술 이슈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네이처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2-21
- 등록일 2019-01-11
- 권호 134
□ 네이처(Nature)는 2019년도에 발생할 10대 주요 과학기술 이슈*를 전망(’18.12.)
* What to Expect in 2019: Science in the New Year
○ 유전자 조작에서 오픈액세스 논문 출판, 바이오 안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과학 이슈를 예측
< 네이처 전망 2019년 주요 과학 이벤트 >
1) 남극 프로젝트
- 향후 5년간 미국과 영국의 연구자들은 수십 년 내 트와이츠 빙하(Thwaites Glacier)의 붕괴 가능성을 분석하는 최대 규모의 공동연구 추진
- 남극 Little Dome C의 150만 년 된 빙하층 시추 작업을 유럽에서 실시할 예정이며, 성공할 경우 가장 오래된 대기 상태의 기록을 보유
2) 국제적 R&D 예산 경쟁
- 올해 말 중국은 ’18년에 지출한 R&D 예산을 발표할 예정이며, 화폐에 따른 구매력* 조정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를 기록할 전망
* 화폐 1단위를 가지고 구매할 수 있는 재화 및 용역의 수량
- EU는 ’21년부터 시작될 유럽의 차세대 연구예산 지원 프로그램인 Horizon Europe에 1,000억 유로(약 128조 원)를 어떻게 분배할지 논의
※ 브렉시트(Brexit)에 따라 영국 연구자의 프로그램 참여는 미지수임
3) 인류의 기원 탐사
- ’03년 인도네시아의 플로레스(Flores) 섬에서 호빗과 같이 왜소한 인류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올해 필리핀 루존(Luzon) 지역의 탐사 결과를 통해 지리적 고립이 이들의 왜소화를 초래하였는지 분석
4) 대형강입자충돌기(LHC) 건설
- 일본은 ’12년 약 70억 달러의 국제 대형강입자충돌기 시설 유치를 반려하였으나, 올해 스위스 제네바(3.7.)에 이은 두 번째 대형강입자충돌기 건설 여부 재결정
5) 유전자 조작 연구 규제
- ’18년 사상 최초로 유전자 조작 쌍둥이 아기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하였다고 주장한 중국 선전 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허지안쿠이의 연구결과 검증
- 보다 책임감 있고 규제된 방식의 인간 DNA 조사체계 수립
6) 오픈 엑세스 논문 사업 모델 도입
- 유럽연구위원회가 ’20년부터 정부 지원 과제의 연구 성과를 공공저장소나 저널을 통해 대중에 공개하도록 규정함에 따라, 구독료 기반의 학술 저널들은 완전 오픈 엑세스 방식의 사업 모델(Plan S)로의 전환여부 결정
- 네덜란드에서는 연구자 평가시 피인용수와 Impact factor의 활용 지양
7) 바이오 안전 가이드라인 갱신
- ’19년 중순 세계보건기구는 지역 및 실험별 위험 평가법을 수립하고 연구 인력의 관리・훈련을 개선하기 위한 바이오 안전 매뉴얼 개정본 발표
8) 지구 냉각 기술
- 탄소 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의 일부를 우주로 반사시키는 태양광 지구공학 기술을 활용한 인공 지구 냉각 실험 최초 수행
9) 대마초 연구
- ’18년 세계 2번째로 대마초를 합법화한 캐나다는 올해 대마초의 경작 및 기초적인 생물학적 연구 성과를 공개
10) 우주 신호 수신
- 세계에서 가장 큰 500미터 크기의 전파망원경인 중국의 텐옌이 완전한 운행에 들어감에 따라 고속 전파 폭발이나 성운에서 방출된 희미한 우주 신호 규명
- 미국 하와이 마누아케아 산에 30미터 크기의 망원경 건설 추진 여부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