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래 노동시장 변화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보기술혁신재단
  • 주제분류 경제혁신
  • 원문발표일 2018-12-17
  • 등록일 2019-01-11
  • 권호 134

□ 정보기술혁신재단과 베텔스만재단은 미국 및 유럽 국가들의 미래 노동시장 변화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언*(’18.12.)


  * The Future of Work: A Guide for Transatlantic Policymakers


○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고용과 노동 시장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자동화로 인해 새롭게 창출되거나 사라질 일자리의 수는 기관별 전망이 달라 불확실성이 큰 편임


 - 보편적 기본 소득제나 로봇에 대한 세금부과를 통해 사회 보호시스템을 확대해 가는 추세이므로, 기존의 사회보장 시스템의 유연성이 필요


< 2017~2035년 기술 자동화로 인해 변화할 일자리 수 전망치 >

9.PNG


○ 독일, 미국, 스페인, 프랑스 4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준비도를 평가한 결과, 독일(4.2점)이 가장 준비도가 높게 나타남


  ※ 기술기반 일자리 상실 등 7개 부문의 35개 세부지표를 종합하여 분석


< 국가별 미래 노동 시장 변화에 대한 준비도 >

10.PNG


 - 독일은 사회 환경, 근로자 역량, 해고에 대한 인센티브 및 제한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상대적으로 일자리 상실, 경제 구조, 노동시장 지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필요


 - 미국은 독일 대비 상대적으로 근로자 역량, 사회 환경, 해고에 대한 인센티브 및 제한 등에서 리스크가 크게 나타남


○ 미래 일자리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3가지 기회요소와 위협요소를 도출


 - (기회) 새로운 혁신으로 얻게 될 혜택은 높은 생산성이며, 이에 따라 평균적인 일자리의 질과 임금이 상승하고, AI 기술이 기존 근로자의 업무 보조로 제품 및 서비스 질 향상


 - (위협) 노동시장 내 변동성 증가가 가장 크며, 높은 실업률과 사업모델 및 산업구조 급변의 리스크가 현실화


< 미래 노동 시장 변화로 인한 기회 요소와 위협 요소 >

11.PNG


○ 향후 노동 정책 개발에 있어 다음과 같은 사항의 고려가 필요


 - 지역별 특성과 경제 구조에 맞는 다양한 정책 및 예산 지원 메커니즘 개발


 - 보편적 기본 소득제나 기술에 대한 과세 등은 충분히 성숙된 이후에 고려


 - 불평등, 소득, 문화, 태도 등 다양한 부문의 변화를 인지하여, 광범위한 사회문제 대응방안을 모색


 - 소외되기 쉬운 중숙련, 중소득 근로자 정책을 수립하고, 새로운 인력 개발 모델 수립


 - 지역 내 민관학을 포함한 근로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접근법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