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STEM 교육 전략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8-12-04
- 등록일 2019-01-11
- 권호 134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산하 STEM 교육위원회는 ‘국가 STEM 교육 5개년 전략계획’을 발표*(’18.12.)
* CHARTING A COURSE FOR SUCCESS: AMERICA’S STRATEGY FOR STEM EDUCATION
○ 혁신의 가속화 및 과학기술 인재의 심화로 STEM 역량의 중요성이 증가한 반면, 미국의 STEM 교육은 사회적 수요*에 못 미치는 상황임
* 15세 미국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적은 평균에 겨우 도달하고, 대학 진학 예정 고등학생의 20%만이 STEM 전공에 필요한 지식을 갖춘 것으로 나타남
- STEM 관련 일자리의 증가가 예상되나 여성, 소수민족 등 소외계층의 참여는 부족한 실정
- 향후 15년 내 인도와 중국이 미국보다 많은 이공계 박사를 배출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미국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효과적이고 포괄적인 STEM 교육생태계 구축 필요
○ 전략계획은 ‘미국인에게 평생 동안 양질의 STEM 교육 제공 및 STEM 교육, 혁신, 고용의 세계적 선도’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3대 목표, 4개 정책방안 제시
1) 3대 목표
- (STEM 활용 역량 개발 기반 구축) 모든 미국인이 컴퓨터적 사고를 포함한 기초적인 STEM 개념을 이해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기회 제공
- (STEM의 다양성, 평등성, 포용성 증진) 전통적인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미국인에게 평생 동안 양질의 STEM 교육 보장
- (미래를 위한 STEM 인력 육성) 국가 혁신기반 유지 및 STEM 경력 개발을 위해 대학교육 이수 STEM 실무자 및 그 외의 모든 국민에게 학습 경험 제공
2) 정책방안
-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강화) 교육기관, 기업 및 지역 커뮤니티간의 기존 연계 강화 및 신규 구축을 통한 STEM 생태계 확대
※ 세부 목표: STEM 생태계 육성, 학교-기업 파트너십을 통한 일 기반 학습·훈련 확대,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의 성공 사례 적용
- (학생 참여 확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과학 박람회, 로봇 클럽, 발명대회, 게임 워크숍 등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도록 하는 범학제적 활동을 통해 혁신 및 기업가 정신을 촉진
※ 세부 목표: 혁신과 기업가정신 교육 강화, 수학을 중심으로 한 범학제적 연결, 범학제적 학습 촉진
- (컴퓨터 활용 능력 강화) 디지털 기기 및 인터넷이 사회 변화에 미친 영향을 인식하고 이러한 변화를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적 사고* 강화를 지원
* 컴퓨터 과학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통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 세부 목표: 디지털 활용 능력 및 사이버 보안 촉진, 교육 전 부문에 컴퓨터적 사고 통합, 교육·학습 부문의 디지털 플랫폼 확대
- (투명성 및 책임성) STEM 프로그램, 투자, 활동 등 정책 시행에 있어 개방적이고 근거에 기반 한 정책 추진
○ 연방 정부기관은 국가 STEM 교육 전략계획의 정책방안 및 세부 목표에 따라 5년간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
< 연방 정부기관별 STEM 교육 지원 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