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개방형 정부 데이터 운영 성과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3-11-15
  • 등록일 2013-10-29
  • 권호 10

□ 오바마 행정부는 가치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공공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2009년부터 Data.gov를 통해 개방형 데이터 체계를 제공


’09년 오바마 대통령 취임과 ‘Open Government Initiative’를 마련하고 공공 데이터의 전면 개방을 진행. 이에 따라 미 연방정부는 각 기관별로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개방 포털사이트(Data.gov)를 구축?운영 중


정부는 데이터의 투명성 향상 및 효율성 증진을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많은 기업들이 신제품과 신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부의 개방형 데이터 체계를 이용


○ 개방형 데이터 체계는 개인 및 기업들이 공정하게 정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산업계와의 정보 격차 해소,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아이디어 공유,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정립 등이 가능


McKinsey&Company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데이터의 접근가능성과 유용성 향상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


○ 미 행정부의 개방형 정부 데이터 운영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고용을 창출하고 투명한 연방정부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고 있음을 제시


개방형 데이터는 국제 경제의 핵심 7개 분야*에서 연간 3조 달러 이상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


* 교육, 운송, 소비재, 전기, 석유 및 가스, 의료서비스, 소비자 금융 등


데이터는 가치있는 국가 자산으로 정부 시스템 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대중, 기업인, 과학자, 기관들에게 공개되고 접근이 가능해야 함


오바마 행정부는 정부 데이터가 더욱 접근가능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


미국의 민간 비영리 재단인 나이트 재단에서는 미국 개방형 데이터 연구소(U.S. Open Data Institute) 모델 구현을 위해 25만 달러 지원을 발표(2013.10.28.)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