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개방형 정부 데이터 운영 성과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3-11-15
- 등록일 2013-10-29
- 권호 10
※ ’09년 오바마 대통령 취임과 ‘Open Government Initiative’를 마련하고 공공 데이터의 전면 개방을 진행. 이에 따라 미 연방정부는 각 기관별로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개방 포털사이트(Data.gov)를 구축?운영 중
○ 정부는 데이터의 투명성 향상 및 효율성 증진을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많은 기업들이 신제품과 신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부의 개방형 데이터 체계를 이용
○ 개방형 데이터 체계는 개인 및 기업들이 공정하게 정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산업계와의 정보 격차 해소,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아이디어 공유,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정립 등이 가능
○ 미 행정부의 개방형 정부 데이터 운영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고용을 창출하고 투명한 연방정부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고 있음을 제시
○ 개방형 데이터는 국제 경제의 핵심 7개 분야*에서 연간 3조 달러 이상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
* 교육, 운송, 소비재, 전기, 석유 및 가스, 의료서비스, 소비자 금융 등
○ 오바마 행정부는 정부 데이터가 더욱 접근가능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
※ 미국의 민간 비영리 재단인 나이트 재단에서는 미국 개방형 데이터 연구소(U.S. Open Data Institute) 모델 구현을 위해 25만 달러 지원을 발표(201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