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첨단기술 연구, 30개 분야 중 23개에서 1위 차지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Nikkei Asian Review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01-06
  • 등록일 2019-01-25
  • 권호 135

□ 첨단기술 분야 연구 실적, 최근 중국의 성장세 뚜렷


○ 국제학술정보회사 엘스비어와 일본경제신문이 ’13~’18년 첨단기술 분야 논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0개 주요 첨단기술 연구 중 23개 분야에서 중국의 논문이 1위를 차지(’18.12.)


  ※ 全 세계에서 발표한 1,720만 건의 첨단기술 분야 논문 조회 수 등을 바탕으로 인용도를 점수화한 뒤 국가별 순위 산정 


 - 분야별로 구분한 첨단기술 연구 논문수와 조회 수에 근거한 중요도를 종합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국가별로 순위를 선정


 - 분석 결과에서 중국은 첨단 과학 기술력이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급성장한 것으로 확인


○ 중국은 차세대 배터리와 신소재 등 30개 주요 첨단 기술 분야에 발표된 논문 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논문의 질도 높게 평가


 - ’08년 첨단기술 분야 논문수가 미국의 1/3 수준이었으나 최근 5년 간 290만 건의 논문을 발표하며 390만 건을 발표한 미국의 74%까지 올라선 것으로 분석


  ※ ’16년만 보면 중국이 51만 건을 발표해 미국(56만 건)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 또한 중국이 ’14~’16년 발표한 논문 중 인용 수가 많은 ‘우수 논문’으로 평가된 비율은 10.9%로 미국(15.1%)에는 못 미쳤지만 과학 강국인 일본(8.5%)을 추월


○ 중국은 반도체 단원자 층에 관한 연구, 핵산표적 암 치료제 연구 등 23개 첨단 연구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첨단 배터리 분야에서 강세


 - 리튬유황배터리와 나트륨이온배터리는 물론 태양광 발전용 배터리로 주목되는 페로브스카이트 배터리의 구조 기술과 유기박막 구조 기술 등 다섯 가지 배터리 기술 분야에서 1위를 차지


 - 광촉매와 니켈·철산화물촉매, 수소발생촉매, 산화환원기술 등 신소재 분야에서도 중국의 성장이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


  ※ 특히 광촉매 분야 연구 논문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고치인 78.3%


  ※ 한편 미국은 유전체 편집과 지카 바이러스 치료, 면역요법 등 의료·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7가지 영역에서만 1위


○ 엘스비어는 중국이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전자기기나 전기자동차와 같은 실용성 있는 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 중국의 첨단기술 연구 역량은 향후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


< 미국과 중국의 첨단기술 분야 연구 실적 > 

순위

연구분야

분류

중국 순위(비중)

미국 순위(비중)

1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1(41.4%)

2(21.5%)

2

단원자 층

반도체

1(35.1%)

2(32.5%)

3

나트륨이온전지

전지

1(58.1%)

2(17.4%)

4

니켈 등 철산화물의 촉매

신재료

1(54.2%)

2(19.2%)

5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의료바이오

3(9.1%)

1(40.2%)

6

리튬유황전지

전지

1(59.9%)

2(23.7%)

7

게놈 편집

의료바이오

2(22.6%)

1(43.9%)

8

유기박막 태양전지

전지

1(31.8%)

2(14.3%)

9

전기이중층 콘덴서

전지

1(65.3%)

4(7.5%)

10

면역요법

의료바이오

5(7.8%)

1(43.3%)

11

산화환원

화학

1(63.5%)

2(14.1%)

12

광촉매

신재료

1(78.3%)

2(5.3%)

13

수소발생촉매

신재료

1(69.4%)

2(15.7%)

14

핵산을 표적으로 한 암 치료

의료바이오

1(72.6%)

2(15.7%)

15

()내 세균

의료바이오

2(16.8%)

1(31.1%)

16

카본양자도트

신재료

1(61.5%)

3(8.8%)

17

플랙시블 재료

신재료

1(36.0%)

2(29.2%)

18

방사화 분석

화학

1(45.6%)

2(12.8%)

19

세포 간 신호 전달

의료바이오

2(22.7%)

1(33.4%)

20

광열요법

의료바이오

1(69.8%)

2(18.0%)

21

이산화탄소의 유효이용

화학

2(27.9%)

1(34.0%)

22

미생물연료전지

전지

1(37.2%)

2(18.0%)

23

광전기화학

신재료

1(34.8%)

2(23.7%)

24

콘덴서에 탄소 이용

전지

1(60.6%)

2(11.1%)

25

유기금속구조체

화학

1(38.4%)

2(18.8%)

26

레이더 용융

신재료

2(20.0%)

1(22.9%)

27

바이오탄

환경

1(42.1%)

2(19.3%)

28

나노발전기

신재료

1(50.9%)

2(31.5%)

29

리튬이온전지

전지

1(41.6%)

2(27.1%)

30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털

신재료

1(19.5%)

2(16.4%)


주) 괄호 안 숫자는 세계 논문 중 해당국가 논문이 차지하는 비중

※ 자료 : 일본경제신문, ’18.12.6일


□ 첨단기술에 대한 전폭적인 정부 지원과 끊임없는 연구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는 중국


○ 미래 첨단기술 연구에서 중국이 경쟁우위를 확보한 것은 국가 차원에서 과학기술 연구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적극 지원했기 때문


 - ’16년 중국의 연구개발비는 45조 엔(약 455조 원) 규모로 10년 전에 비해 3.4배 증가. 규모 면에서도 미국(약 515조 원)에 육박(일본 문부과학성)


 - 국가 주도의 첨단산업 육성 정책인 ‘중국제조 2025’를 앞세워 첨단기술 연구와 기업 상용화를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있는 것도 강점


○ 우리나라도 기초연구 투자 확대, 신기술 연구개발 적극 지원, 안정적인 연구개발 환경 조성 등에 만전을 기하며 글로벌 경쟁우위를 이어갈 수 있는 노력 경주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