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한국IDC, 2019년 국내 ICT 시장 10대 전망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ID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12-12
  • 등록일 2019-01-25
  • 권호 135

□ 인공지능․블록체인‧클라우드 활용이 확대되며 ICT 시장 大변혁 예고


○ 한국 IDC는 ’20년까지 조직의 55%가 의사결정이나 경영에 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신규 사업 모델과 제품‧서비스를 통해 시장을 변화시켜 미래를 재창조할 것이라고 예측


○ 또한 인공지능(AI)이 산업·경제·비즈니스·정부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매개체라고 설명


 - ’25년까지 프론트 엔드(Front-End)*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60%가 음성 기반으로 구현될 것으로 예상


  ※ 프론트 엔드: 프로세스의 처음 단계를 의미. 즉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받는 단계


○ 향후 기술 혁신 기반의 성장을 구현할 수 있는 ‘단일 디지털 플랫폼’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


< 2019년 국내 ICT시장 10대 전망 >

10대 전망

주요 내용

디지털 디터미네이션

(Digital Determination)

’20년까지 55%의 기업이 의사결정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단계로 진입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제품서비스를 통해 시장을 변화시키고 미래를 재설계

데이터 수익화

(Data Monetization)

’20년까지 대기업의 60%가 데이터 관리를 통해 수익창출 기회 확보

- 기업이 경쟁력을 촉진하고 수익을 향상 시키는 등 새로운 매출 창출

디지털 핵심성과지표

(Digital KPI)

’23년까지 80%의 단체에서 디지털 전략 진척 상황과 디지털 사업 결과 개선 상황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디지털 핵심 성과 지표를 접목

- 디지털 경제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혁신 비율, 데이터 자본화, 직원 경험 등이 중요

디지털 트윈

(Digitla Twin)

’20년까지 글로벌 2,000대 기업의 30%가 프로세스에 실제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서 표현한 디지털 트윈 모델을 구현

- 디지털 트윈을 통해 장비 수리, 서비스 계획 수립, 제조 공정 계획, 공장 가동, 장비 고장 예측 등 근로자의 생산성 제고 향상에 도움

애자일 연결성

(Agile Connectivity)

’21년까지 비즈니스 조직의 수요에 따라 60%CIO(Chief Information Officer)가 애자일* 연결 환경을 제공

* 애자일(Agile): 완벽한 제품을 개발하기보다 빠른 속도로 시제품을 출시해 고객과 시장 피드백을 받아가며 수정·보완하는 방법론

- 클라우드 벤더, 시스템 개발 업체, 스타트업 등 디지털 솔루션을 상호 연결해주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현

블록체인 기반의 DX 플랫폼

(Blockchain-based DX Platform)

’21년까지 금융업, 제조·유통업 등 각 산업에 특화된 가치사슬(Value Chain)*에 블록체인을 도입

* 가치사슬(Value Chain):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의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 디지털 플랫폼이 옴니채널(온라인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로 확장되고 이에 따라 거래 비용은 35% 절감

엣지 영역으로의 확장

(Extending to Edge Zone)

’22년까지 조직의 30% 이상이 엣지 컴퓨팅 영역으로 클라우드를 확대 구현

- 25%의 엔드 포인트 디바이스와 시스템이 인공 지능(AI) 알고리즘을 실행

앱데브 혁명

(AppDev Revolution)

’22년까지 모든 새로운 앱의 70%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쪼개어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아키텍처

- 써드 파티 코드 설계와 디버깅, 업데이트 및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될 것

- 모든 생산 앱의 25%가 클라우드 네이티브(클라우드 컴퓨팅 장점을 모두 활용) 방식으로 구현

새로운 UI로서의 AI

(AI as a new UI)

’24년까지 인공 지능(AI) 기반으로 구현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스 자동화가 오늘날 스크린 기반 앱의 1/3을 대체

- ’22년까지 30%의 기업들이 고객 관계 관리에 있어 대화형 스피치 기술을 사용

AI기반의 IT 운영

(AI-based IT Operations)

기업은 IT지출을 축소하고 민첩성을 개선하며 혁신을 가속화

- ’21년에는 60%CIOIT운영, , 프로세스에 있어 데이터 및 AI’를 적극적으로 적용


※ 자료 : IDC, ’18.12.12일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