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 프로그램 공모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9-01-15
  • 등록일 2019-02-15
  • 권호 136

□ 문부과학성은 ’19년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 프로그램에 대한 공모 실시(’19.1.)


○ 지역 설문조사 결과, 지방의 대학 및 지역 연구기관은 사업화 경험 및 노하우, 자금의 부족으로 인해 사업화 연계에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추진과제로 지역 내 인재육성 및 지역혁신 자금확보 지원이 도출 


<  지역혁신 추진과제 설문조사 결과 >

4.PNG 


○ 지역의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 지역대학 내 사업 프로듀스팀을 설치하여 지역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인재·기술 도입이 가능한 사업화계획 수립


- ’19년 예산은 약 36억 3,300만엔으로 약 19개 기관에 1년간 7,000만엔을 지원하고 신규 기관인 경우 1억 2,000만엔을 2년간 지원


- 특정 연구자원을 보유한 지역대학, 연구개발법인, 지자체가 지정한 기관에서 사업 프로듀스팀을 구성하고,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시장 및 특허 분석


 < 지역혁신 생태계 사업 개요 >

5.PNG



○ 지원대상 사업은 사업화 프로젝트, 혁신생태계 기반구축 프로젝트, 사업프로듀서 활동으로 구분하여 추진 


 < 지역혁신 에코시스템 구축에 의한 새로운 프로젝트 창출 >

6.PNG



【사업화 프로젝트】


○ 지역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성과의 사업화를 통해 사업의 전략파트너 기술지원, 중소기업 사업화, 벤처기업 창출·성장을 목표로 함


 - 관련 사업으로 전략적 창조연구사업(CREST, ERATO 등), 최첨단 연구개발 지원사업(FIRST), 과학연구비 조성사업 등 추진 



【기반구축 프로젝트】


○ 미래 사업화 프로젝트 후보기술 시드 발굴을 반영한 개념 실증, 데이터 수집 등을 추진하는 차세대 사업화 프로젝트


 - 지역 각 기관 컨소시엄 등 지식 네트워크를 활용한 기술 시드 관련 정보수집 및 정리, 기업 수요조사 및 매칭 



【사업프로듀스 활동】


○ 대학, 지자체, 지원기관 등은 지역의 성장에 있어 주체적 역할을 수행할 인재가 필요하며 가능한 한 지자체 기관의 직위도 겸임하여 상기 활동을 실시 


 - 활동 내용으로 신사업 구상, 자금조달 방안 제안, 타겟 시장 및 고객 분석, 지식재산전략 구축 및 특허 취득, 해외 판로 개척 등을 포함   


< 참고: 지역혁신 에코시스템 구축 사업 성과 >

’164개 지역, ’1710개 지역, ’185개 지역을 채택하여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

: 제품판 수술용 입체내시경 시스템 개량형 개발 완료(하마마쓰), 내구성이 강한 유기 EL 청색·황색 발광재료 개발(후쿠오카), 희소당 양산을 가능케 하는 효소 선별(가가와), 초소형 광원 모듈 프로토타입 개발(후쿠이), 휴대형 정수기 샘플 제조 및 배포(나가노)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