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과학기술정책 이슈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의회조사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2-06
  • 등록일 2019-02-28
  • 권호 137

□ 의회조사국은 제 116대 연방의회에서 논의될 과학기술정책 이슈를 공개*(’19.2.)


  *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in the 116th Congress


○ 의회조사국은 제 116대 연방의회(’19.1.~’21.1.)에서 논의될 10개 부문별 정책 이슈를 제시


  * 전체 내용 중 과학기술정책, 바이오의료 R&D, 정보 기술 부문에 대한 내용을 발췌 요약


 1) 과학기술정책


 - 연방 과학기술 정책에 적용될 수 있는 의회 이해관계자간 주요 이슈


  < 과학기술 정책 중점 이슈  >

구분

중점 논의 내용

연방 과학기술 정책 집행 기관

연구개발, 특정분야 R&D, STEM 교육 등 S&T 정책 결정에 대한 연방정부의 책임이 매우 분산되어 있어 이에 대한 기관별 역할 논의

- OSTP는 대통령 및 관계부처에 과학기술 조언을 제공하며, NSF 및 방위, 에너지, 보건 등 분야별 집행기관에 책임이 분산

연방 R&D 예산

’13~’17년까지 연방 R&D 예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R&D 투자 방향 및 예산 우선순위 결정

파괴적 기술

(Disruptive technology)

소셜미디어,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애널리틱스,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블록체인, 에너지 저장, 유전자 조작,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 성장 촉진 방안 및 기술의 부정적 영향

미국 경쟁력 강화법

(America COMPETES Act) 재승인

’07년 입법된 미국 경쟁력 강화법을 재 승인하면서 과학적 심의과정, NSF, NIST의 만료된 예산 부활

연방연구소 기술이전

NIST가 발표한 미국 혁신을 위한 투자수익 이니셔티브에 따라 연방연구소의 기술 성과 이전 및 투자 수익 제고 방안에 관한 법제화 방안

공학인력 적절성

현재 이공계 인력의 부족 현상에 대한 원인 및 이에 대응한 정부의 관여 필요 여부

STEM 교육

STEM 교육의 대상을 전체 또는 엘리트에 국한할지에 대한 정책적 접근

조세 인센티브

특허 혹은 혁신박스 제도의 도입 여부와 근로자 훈련과 교육에 투자하는 고용주에 대한 세금 인센티브


 2) 바이오의료 R&D


 - 바이오의료연구와 관련된 과학기술 진보를 통해 의약품과 치료방법 개선 


  < 바이오 의료 R&D 중점 이슈  >

구분

중점 논의 내용

NIH21세기 치료법

국립 보건원이 4개의 주요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도록 하여, 추진 현황과 성과에 대한 감독 필요

FDA의 의료품 혁신

유전자 조작 기반의 의료품과 세포 기반의 유전자 치료법, 비중독성 의료품의 FDA 승인과정 촉진 등 관련 규제 법제화

실험실 개발 검사기기 관리

단일 실험실 내에서 사용되도록 제작된 체외 진단기기인 실험실 개발 검사기기를 다루는 규제적 접근 제시

줄기세포와 재생의료

줄기 세포의 임상 적용을 촉진하는 R&D 지원, 관련 치료법 안전성 보장 방안 논의 및 불법적 줄기세포 치료법 대처

CRISPR

CRISPR 유전자 조작법의 잠재적 혜택과 리스크 분석, 규제 방안,타 국가와의 정책 조율 방안

 

3) 정보기술


 - 정보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한 사이버 보안, AI, 브로드밴드, 망 중립성, 5G 등  


  < 정보기술 중점 이슈  >

구분

중점 논의 내용

사이버 보안

주요 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 사이버 범죄 예방과 대처, 사이버 공간과 국방간의 관계, 연방 R&D 및 기타 투자, 관련 법제 관리 감독

AI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AI기술 국제경쟁, AI 표준과 시험방법 개발, AI시스템 프라이버시, 보안, 투명성, 책임성

브로드밴드 보급

연방통신위원회(FCC)에 브로드밴드 규제에 대한 권한 부여 여부

5G 기술

세계 5G 시장 내 미국의 경쟁력, 무선 주파수 배정정책 등 5G 보급 촉진 정책

IoT

IoT로 연결된 기기 보안, 전송되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IoT 표준,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로의 전환, IoT기기 업데이트 방법, IoT 기기 에너지 관리 등

양자정보과학

기관 범위, 교육 및 인력 훈련, 기술과 지식이전, 소재, 예산 수준과 안정성 등 5개 정책 부문 관련 법제 개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