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이공계 인재 육성사업 활성화 방안 수립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9-01-31
  • 등록일 2019-02-28
  • 권호 137

□ 문부과학성을 중심으로 한 인재육성 산학관 컨소시엄* 은 1차 회의에서 이공계 인재 육성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 결과를 발표(’19.1.)


  *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일본상공회의소, 대학협의체 등 참여


○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신산업 창출을 목표로 우수 공학인력 배출을 위한 공학 교육 개혁 중점 추진  


 < 공학교육 개혁 변화 >

2017

2018

향후 계획

학과별 수직적 구조 개편

->학과전공 정원 설정 유연화

학사·석사 6년 일관제도 창설, 학내 학점 공유

주전공 외 부전공 취득

->메이저마이너제 도입(바이오, 의학, 사회학, 심리학, 경영학 등)

공학 기초교육 강화

정보과학기술공학 공통기초교육 강화

산학공동교육체제 구축

->대학산업계인재교육, 산학연계 협동프로그램 개발, 인턴십 추진

대학설치 기준 개정

->학과, 전공 정원 유연화 및 학위프로그램 적극적 도입

->산업계 연계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실천교육(PBL) 중점 도입

학부, 대학원 연결교육 프로그램 구축

->기업과 제휴한 PBL 등 교육과정 실시, 타분야 교원을 교차 채용 제도 설계

학부단계별 공학기초교육 강화

->중점 커리큘럼 구축 및 교육전임교원 채용

산업 및 교원 인사교류 촉진

->실무교원이 교재 개발 및 대학과 공동 제휴하여 교육 실시

대학 설치 기준 개정

->학과, 전공 교원 기준을 학부 전체로 설정

->공학 학부 교육과정 편성시 기업등과 제휴하여 수업 개설 의무화

대학 설치 기준 시행 통지

->실무교원 활용시, 대학에서 교육의 질 보증

Society 5.0 대응 고급인재 육성사업

->공학 기초교육 커리큘럼 선도적 개발 및 보급 등

산업계와의 연계 강화

->대학협의체와 산업계간 의견 교류, 실무교사 파견, PBL 확대 협력 요청, 지속적 산학공동 인재육성 시스템 구축


○ 산학 연계를 통한 실천 교육 및 실무가 가능한 교원 양성 목표인 ‘Society 5.0에 대응한 고급기술인재 육성사업’ 추진


1) 성장분야를 뒷받침하는 정보기술 인재 육성거점 구축(enPiT)


 - 학부 학생에 대한 실천적 교육 추진(enPiT Ⅱ)(4억 2,900만엔, 1개 운영거점, 분야별 핵심거점) 


  ※ 대학 간 연계를 통해 PBL 중심의 실무교육 실시,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교육방법 및 지식을 전국에 확산


 - IT 기술 재교육 추진(enPiT-Pro)(308백만엔, 5개 거점)


  ※ 정보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고급교육(연습, 이론) 제공, 단기 실천적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안 등 인력부족이 심각한 분야 재교육


2) 초스마트 사회 실현을 향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육성사업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육성을 위한 실천적 교육 추진(2억 3,400만엔)


  ※  필요한 빅데이터 제공, 실제 과제에 의한 PBL(공동연구)와 인턴십으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3) 지속적 산학협력 인재 육성 시스템 구축 사업(3억 2,100만엔, 핵심거점 4개)


 - 사회 경험이 있는 경력직 교수 육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경력직 교수에 대한 매칭을 실시하는 인재 에이전트 시스템 구축


○ AI 발달과 인터넷의 폭발적 활용에 대응한 교육 내용 및 지역 핵심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전수학교(직업학교)* 에서의 ‘지역산업 핵심적 인재양성 사업’ 추진(12억 7,400만 엔) 


  * 미래투자전략 2017에서 산학협력에 의한 교육프로그램 구축 및 전수학교에 의한 지역산업 핵심인재양성 사업 추진을 강조   


 - (산학협력체제 정비) 인재육성협의회를 구축하여 중장기적 인재 육성 방향을 협의하고, 필요한 인재상을 정리하여 효과적 교육 방법 체제 확립(전국 5개소, 지역별 18개소, 연락협의회 1개소)


 - (산학협력기술 개발) 이론과 실기를 함께 실시하는 효과적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학교 및 산업계가 각각 가이드라인을 작성(분야별 8개소, 전체분야 1개소)


 - (교육 프로그램 등 개발) Society 5.0 등 시대에 필요한 능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인력 양성을 위한 시범적 커리큘럼 개발(30개소), 지역별 과제 해결 인재 양성 시범 커리큘럼 개설(30개소)


○ 사회인의 전수학교학습기회 도모를 위한 ‘전수학교 리커런트 교육 종합 추진 사업’ 추진(315백만엔, 신규)


 - 전수학교와 기업 등 분야에 걸쳐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재 육성 프로그램 개발(10개소)


 - e-러닝을 활용한 강좌 개설시 효과적 콘텐츠 제공방법, 내용, 유의사항 등 지침 작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